남인순 의원, 지난해 식욕억제제 공급금액 2018억
최근 5년간 향정신성 31.5%·비향정신성 126.8 증가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의원은 외무지상주의 문화로 인해 섭식장애를 앓는 여성이 남성보다 4배 이상 많다고 지적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의원은 외무지상주의 문화로 인해 섭식장애를 앓는 여성이 남성보다 4배 이상 많다고 지적했다.

[메디칼업저버 신형주 기자] 외모지상주의 탓일까?, 섭식장애를 앓고 있는 여성환자가 남성환자보다 4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분위기에서 최근 5년간 향정신성 식욕억제제는 31.5% 증가했으며, 비향정신성 식욕억제제는 126.8% 증가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의원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섭식장애 질환으로 진료를 받은 인원은 총 3만8469명으로, 2014년 7261명에 비해 2018년 8316명으로 14.5% 증가했다. 

같은 기간 남성은 6998명(18.2%), 여성은 3만1471명(81.8%)으로 여성 환자가 4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10만명당 진료인원도 2014년 14.4명에서 2018년 16.3명으로 증가했다. 

진료비는 더욱 가파르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2014년 21억6813만원에서 2018년 33억9554만원으로 약 57% 급증했다. 
같은 기간 남성은 3억 6073만원(10.6%), 여성은 30억 3481만원(89.4%)으로 여성 환자의 진료비 사용이 9배 가량 많아, 진료인원 대비 진료비로 파악할 때 여성 환자의 진료기간이 더 길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또한, 70대 이상을 제외하고 가장 진료인원이 많은 성별·연령별 구간은 2018년 기준 20대 여성이 47.1명, 30대 여성 25.6명, 10대 여성 25.1명, 40대 여성 15명 순으로 나타났다. 

남인순 의원은 "섭식장애는 생물학적, 사회적, 심리학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병하는데, 날씬함이 아름다움의 기준으로 강하게 작용하고, 외모를 중시하고 차별하는 사회구조적 문제도 중요한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여성 환자가 압도적으로 많아 성별의 차이가 분명하게 나타나고 있다"고 진단했다. 

한편, 남인순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 ‘최근 5년간 식욕억제제 공급내역’에 따르면 식욕억제제 공급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해 2018년 한해 식욕억제제의 공급금액이 약 2018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향정신성 식욕억제제는 2014년 932억 4084만원원에서 2018년 1225억 9899만원으로 31.5% 증가했고, 비향정신성 식욕억제제는 349억 191만원에서 791억 6425만원으로 무려 126.8%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인순 의원은 "마른 몸에 대한 지나친 신화로 인해 식욕억제제 사용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도 문제지만 심각한 부작용이 우려되는 향정신성 식욕억제제가 절반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큰 문제"라며, "향정신성 식욕억제제 투여기간은 일반적으로 4주 이내로 사용하되 최대 3개월을 넘지 않도록 하며, 장기간 복용할 경우 폐동맥 고혈압과 심각한 심장질환 등 부작용 발생위험이 증가하기 때문에 의사뿐만 아니라 복용하는 환자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우려했다. 

이어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 구축으로 마약류 사용내역과 환자별 투약 내역에 대한 모니터링 체계가 확립됐기에 사례 관리, 처방 중지 등 마약류 오남용 방지를 위한 구체적인 조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