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CLC서 펨브롤리주맙, 니볼루맙, 아테졸리무맙, 더발루맙 연구 발표

▲ 전 세계 폐암전문가들이 최근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성료된 세계폐암학회에 참석해 면역항암제 세션에 관심을 보였다. 사진 WCLC 제공.

[편집자주]무진행 생존기간 연장에 이어 전체 생존율 까지 입증해내고 있는 면역항암제들. 면역항암제를 이용한 폐암 극복은 어디까지 가능할지 궁금해지는 부분이다. 세계폐암학회(WCLC 2016)에 발표된 내용을 중심으로 새롭게 추가된 면역치료제들의 근거를 정리했다.

폐암환자들의 새로운 희망 펨브롤리주맙
KEYNOTE-024 연구 하위 분석 삶의 질 개선

대표적 면역항암제인 펨브롤리주맙은 매년 새로운 근거를 쌓으며 전 세계 면역항암제의 신화를 써오고 있다.

올해만도 폐암 1차 치료제의 가능성을 확인했고 이어 암 환자들의 궁극적인 목적인 삶의 질도 개선할 수 있다는 근거를 추가했다.

지금까지 펨브롤리주맙은 치료경험이 있는 진행성 비소세포폐암(NSCLC) 환자들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무진행 생존기간(PFS) 및 객관적 반응률(ORR) 개선만 있었는데 여기에 멈추지 않고 치료경험이 없는 진행성 NSCLC 환자를 대상으로도 표준화학요법 대비 질병진행위험을 50%가량 낮춘 것이다.

이를 입증한 연구가 바로 올해 유럽임상종양학회(ESMO)에서 발표된 KEYNOTE-024이다. 이는 말기 NSCLC 환자에게 면역항암제를 조기에 쓸 경우 예후를 현저히 낮출 수 있다는 점을 간접적으로 증명했다는 점에서 랜드마크 적인 연구로 기록되고 있다.

여기에 올해 WCLC에서는 KEYNOTE-024에 참여했던 환자들의 삶의 질을 평가했는데 이 또한 면역항암제의 압도적인 승리로 끝났다.

이 평가는 치료받은 환자들의 삶의 질을 평가할 수 있는 EORTC QLQ-C30 글로벌 건강 상태/삶의질(QoL) 점수로 매겼고, 또한 감기, 흉통, 호흡곤란 등으로 구성된 EORTC QLQ-LC13 점수로 평가한 것이다.

EORTC QLQ-C30 글로벌 건강 상태/삶의질(QoL) 개선 비율은 40%와 26.5%로 차이를 보였고, EORTC QLQ-LC13 점수는 30%와 39%로 더 낮았다. 치료 성과에 이어 삶의 질 개선까지 이끌어낼 수 있다는 결론은 향후 폠브롤리주맙이 폐암 1차의 새로운 표준 치료제가 될 수 있음을 강하게 시사하는 부분이다.

니볼루맙 석면유발 악성 흉막중피종에 효과
네덜란드 암센터 연구 결과 확대 시사

펨브롤리주맙과 함께 양대 면역항암제로 불리는 니볼루맙도 새로운 역사를 꾸준히 써나가고 있다. 올해 WCLC에서 발표된 새로운 근거는 악성 흉막 중피종(Malignant Pleural Mesothelioma)에 대한 효과다.

이 질환은 흉막이나 복막에 발생하는 암을 말하는데 대부분의 악성 흉막중피종은 석면이 원인이다. 흡연과는 연관성이 없고 석면 노출량과 노출시기와 관련이 있다. 석면에 처음 노출된 뒤 30~40년 후 발생되는 매우 오랜 잠재기간을 보인다.

WCLC에서는 악성 중피종 환자 33명에게 니볼루맙을 12주간 치료한 2상 임상 결과가 발표됐다. 치료의 최종 목표는 12주간 치료 후 20~40% 가량의 질병 진행 개선을 보이는 환자들의 비율이었는데, 지금까지 절반에 가까운 환자들이 반응을 보이고 있다.

아직까지 치료와 관련된 사망은 없으며, 12주째 질병 조절률은 50%를 기록하고 있다. 5명의 환자가 부분 반응을 보이고 있으며, 12명은 안정, 그리고 17명은 질병진행 상태이다.

네덜란드 암센터에서 진행된 단일 연구인데 긍정적인 효과로 다른 기관에서도 연구가 수행될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

아테졸리무맙 생존율 개선 입증 27% 낮춰
OAK 연구 전체 생존율 입증

WCLC에서는 새로운 면역항암제인 아테졸리무맙의 효과도 발표됐다. 이 약물은 PD-L1 계열 약물로, 올해 10월 미국에서 화학요법 후 또는 치료 중 질병 진행이 있는 비소세포폐암 환자를 위한 약으로 허가된 바 있다. 이번에 공개된 데이터는 화학요법인 도세탁셀 대비 전체 생존율을비교한 것이다.

최종 결과, 아테졸리무맙의 전체 생존기간은 13.8개월이었으며, 도세탁셀은 9.6개월로, 질병 진행 위험 및 사망위험을 무려 27% 더 낮췄다.

특히 PD-L1 발현율에 상관없이 고른 효과를 보인다는데 있다. 하위분석 결과, 치료 이력이나, IHC 또는 종양유전자발현 검사로 측정한 PD-L1 상태에 상관없이 고르게 전체 생존율을 입증했다는 점이다. 또한 65세 이상 고령의 환자, 뇌전이 환자, 비흡연자군에서도 생존율 개선 효과는 그대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약물은 다소 허가는 늦었지만 가장 안정적인 효능을 보여주는 강력한 면역항암제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런 점은 향후 다른 환자대상에서도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할 수 있는 부분이다.

더발루맙 예후 나쁜 폐암환자도 'OK'
ATLANTIC 연구 결과 PD-L1 높을 수록 반응 커

아테졸리무맙과 더불어 더발루맙도 주목받는 면역항암제 신예다. 올해 WCLC에서는 2상임상인 ATLANTIC을 공개됐는데, 국소 전이 절제불가 또는 전이성 NSCLC 환자의 생존율 개선 가능성이 확인됐다.

이 연구에는 EGFR/ALK 와이드 타입(wild-type)군 또는 유전자를 알 수 없는 환자 군, 2차에서 화학요법을 받은 군 등 3가지 코호트 군이 참여했다.

먼저 환자를 PD-L1 발현율 25%(종양세포기준)를 기준으로 높은 군(25% 이상)과 낮은 군(25% 미만)으로 나눴고(코호트2), 이어 90% 이상 높은 군을 별도로 분류했다(코호트3). 각 코호트별 환자 비율은 각각 60%와 40%였다.

그 결과, PD-L1 25% 이상 발현된 환자일수록 객관적 반응률(ORR)이 높게 나타났다. 먼저 코호트3군에서 ORR은 30.9%였다. 이어 코호트2에서 PD-L1 25% 이상군은 16.4%였으며, 25% 미만군은 7.5%로, 발현율이 낮을수록 ORR도 낮게 나타났다.

이와 함께 지속 반응효과도 관찰됐다. 코호트3군에서 1년 전체 생존율(OS)는 50.8%였으며, 코호트2군에서 PD-L1 25% 이상군은 47.7%, 25% 미만군은 34.5%로, 이 또한 발현율이 높을수록 생존율도 높았다.

이번 연구에서 확인된 3등급 이상 이상반응은 코호트2군과 코호트3군 각각 8.3%, 17.6% 보고됐다.

이탈리아 이태리 IRCCS 국립 암 연구소 Marina Garassino 박사는 "더발루맙은 많은 치료를 받은 폐암 환자에서도 반응을 보이고 추가로 생존율 효과가 있음이 확인됐다"며 "그야말로 예후가 나쁜 전이성 재발성 폐암환자들에서 효과를 보였다"고 말했다.

현재 더발루맙은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CTLA-4 계열의 또다른 면역항암제인 트리멜리무맙과 병용 또는 각각의 단독요법 효과를 연구 중이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