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RI 활용한 고강도 초음파 절제술 새로운 옵션 기대

 

수전증(essential tremor)에 초음파 절제술(focused ultrasound thalamotomy)이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8월 25일자 NEJM은 자기공명영상장치(MRI)를 활용한 고강도 초음파 절제술을 샴 프로시저군(같은 방식으로 외과적 수술을 진행하지만 실제 유효한 치료를 하지 않는 군)와 비교한 무작위 대조군 연구 결과를 실었다. 이를 통해 기준의 표준치료인 심부뇌자극술과 더불어 초음파 억제술로 수전증을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입증했다.

수전증은 일반적으로 가장 흔한 운동장애다. 이를 치료할 수 있는 1차 약제는 프로프라놀올(propranolol)과 프리미돈(primidone)으로, 수전증 환자의 절반은 증상 감소를 경험한다. 개선도는 약 60% 정도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약물 부작용이나 내성으로 치료가 불가능할 경우 신경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신경치료에는 심부뇌자극술(Deep-brain stimulation)과 초음파 에너지를 이용한 치료가 있다. 모두 침습적 치료이다.

이번에 NEJM에 실린 연구는 두 가지 이상의 치료법에도 반응이 없는 중등증-중증 수전증 환자를 무작위로 나눠 초음파 절제술과 샴 프로시저를 비교한 것이다. 1차 종료점은 전문 평가도구(The Clinical Rating Scale for Tremor, CRST score)를 활용해 손떨림 점수를 베이스라인과 비교 대비 3개월 시점에서 관찰했다. 이후 샴 프로시저군도 초음파 절제술군으로 배정해 변화를 관찰했다.

연구에 참여한 환자의 평균 나이는 70세로, 백인이 75%, 아시아인이 25%였으며 최초 진단을 기준으로 따졌을 때 유병기간은 16년이었다. 또한 치료를 기준점을 잡았을 때 유병기간은 14년 정도였다. 베이스라인에서 수전 정도를 나타내는 점수는 손의 경우 평균 18점이었으며, 전체는 50점이었다.

총 76명의 환자를 분석한 결과, 초음파 절제술 치료를 받은 환자군은 샴 프로시저군대비 수전증 개선 점수가 47% 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초음파 절제술군에서의 CRST 점수는 베이스라인에서 9.6점이었으나 3개월 후 18.1점이었다(from 18.1±4.8 to 9.6±5.1). 반면 샴 프로시저군에서는 차이가 없었다(from 16.0±4.4 to 15.8±4.9). 이에 따른 두 군간 평균 차이는 8.3점으로 통계적 분석에서도 개선 효과가 입증됐다(95% CI 5.9 to 10.7; P<0.001).

또한 초음파 절제술군의 초기 효과는 12개월 째에도 그대로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베이스라인에서 12개월까지 평균 변화, 7.2 points; 95% CI, 6.1 to 8.3; P<0.001).

이와 함께 샴 프로시져군에 배정된 21명의 환자들을 초음파절제술로 전환해 치료한 결과 3개월 시점에서  55%개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from 16.5±4.2 to 7.4±3.9, P<0.001), 6개월째에는 52%로 매우 반응이 뛰어났다(from 16.5±4.2 to 8.0±3.9, P<0.001).

2차 종료점에서 Quality of Life in Essential Tremor Questionnaire(QUEST)로 분석한 장애와 삶의 질 개선도 또한 치료군에서 더 높았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초음파절제술군의 이상반응은 보행장애와 감각이상 또는 마비 증세로 각각 36%와 38%가 나타났다. 각 이상반응이 12개월째까지 계속된 경우는 각각 9%와 14%였다.

연구팀은 현재 수전증 표준치료는 심부뇌자극술로 지난 1997년 미FDA가 승인했지만 관련 가이드라인을 보면 위약대조 연구가 없기 때문에 C 레벨로 권고하고 있는 수준이라며 초음파 절제술 또한 침습적 중재술이지만 효과적이고 매우 안전하다는 점이 이번 연구를 통해 확인돼 새로운 옵션으로 쓸 수 있는 길이 열렸다고 말했다.

다만 심부뇌자극술과 초음파 절제술간의 비교연구는 아직 없어 어떤 것이 떠 뛰어나다고 말할 수는 없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