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의사협회 집행부와 비대위의 갈등이 확산되고 있다.

이미 집행부에선 공정위 과징금 문제로 기획이사가 사퇴했고, 의협 비대위원의 파견 철회로 유태욱 정책이사가 임원직 사퇴, 의협의 비대위 예산사용 문제제기 등으로 정성일 비대위 대변인 사퇴까지 의협 내홍이 증폭되고 있다.

▲ 대한의사협회 비상대책위원회 정성일 대변인
정성일 대변인은 28일 '비대위원 활동 마무리' 말씀을 통해 의사회원과 의료계 지도자분들은 "투쟁 하겠다고 앞에 나선 사람들을 홀대하다가 결국 내다버릴 생각이면 투쟁 자체를 할 생각을 말아달라"고 당부했다.

정 대변인은 이날 작심한 듯 "비대위라고 만들어 놓고 방이나 책상 미지급, 전담 직원 미파견, 회의비용 중단, 공문 전달 미룸, 적절한 성명서도 집행부에서 그 내용을 갖고 이견, 시급한 성명서인데도 의협 홍보부로 넘기면 언론사 배포에 2~3일이 걸리는 등 문제가 많다"고 지적했다.

또 "비대위 사무총장은 홍보업체로부터 빚 독촉에 시달리고 비대위원들은 명함도 없이 활동하는 코메디가 지금도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임무를 어느 정도 완수할 것처럼 전망이 되는 시점이 되자 비대위가 회원들의 돈으로 호의호식을 하고 회계처리가 투명하지 못했고 집행부와 상의가 되지 않았다"면서, "이것은 지난 몇 개월간 자신의 생업을 희생하고 회원들을 위해 발벗고 뛴 30 여명의 비대위원들 각자의 도덕성을 훼손시키는 마타도어 사태가 벌어진 것"이라고 지적했다.

특공대를 밀림에 보내놓고 임무를 완수하자 외교적인 문제로 비화되는 것을 싫어한 정치인들이 돌아오는 헬기를 보내지 않는 그런 뻔한 액션 영화의 스토리가 현실이 되고 있다는 것이다.

정 대변인은 추무진 의협회장과 변영우 대의원회 의장에 대해 "이런 사태에 더 이상 침묵으로 일관하지 마시고 의료계 지도자로서의 최소한의 책임감이나 양심을 가지고 이 사태 해결에 나서야 하며, 비대위원들에게 진심으로 사과할 것을 요청했다.

그렇지 않다면 앞으로 의료계가 그 어떤 난관에 부딪혔을 때 누군가 앞장 서서 투쟁을 하거나 희생하는 회원들은 없게 된다고 주장했다.

이어 "임신한 몸으로 비대위 활동을 한 전공의도 있는데 이런 분들을 용도 폐기 후 내다버린 선배 의료인들이 부끄러워 개인적으로 더 이상 의료계를 위해 관심을 가지고 일해달라는 말을 못하겠다"고 토로했다.

정 대변인은 "의협회장 선거를 앞둔 추측과 계산은 의료계 대의를 위해 잊어달라"며, "의료계가 처한 근본적인 문제가 무엇인지 모든 지도자들이 심각하게 고민하고 대오각성하는 계기로 삼아주었으면 한다"고 말을 맺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