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년간 임신성당뇨병 5.8배 증가...비만은 출산 후 당뇨에도 영향

최근 임신성 당뇨병이 크게 늘었다. 이중 출산 전 비만인 여성이 많았고, 비만은 임신성 당뇨병은 물론 출산 후 당뇨병에도 영향을 미쳤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지난 2002년부터 2012년까지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활용, 임신 전 비만과 임신 중 '임신성 당뇨병' 등이 출산 후 당뇨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 연도별 출산 여성 중 '임신성 당뇨병' 진료율(%)

우선 최근 임신성 당뇨병이 크게 증가했다. 출산 여성 중 임신 중에 '임신성 당뇨병'으로 진료를 받은 여성은 2003년 1만9799명에서 2012년 11만5646명으로 9년새 5.8배 급증, 이는 비율로 보면 2003년 4.8%에서 2012년 25.4%로 증가한 수치다.

임신성 당뇨병의 원인을 위해 건강검진 결과를 알아봤다.

이를 위해 2004년 첫 아이를 출산한 여성 중 임신 전 건강검진을 받은 5만3331명의 빅데이터를 활용, 산전 비만 및 임신성 당뇨병 유무에 따라 출산 후 8년 이내 당뇨병 발생여부를 파악했다.

그 결과 임신 전에 체질량지수(BMI) 25 이상이었던 비만여성이 첫 임신에서 임신성 당뇨병이 발생한 경우, 출산 후 8년 이내에 23.8%에서 당뇨병으로 진행됐다.

또한 임신 전에 비만한 여성의 경우, 임신성 당뇨병이 발생하지 않았더라도 출산 후 당뇨병으로 진행될 위험(HR)은 2.8배에 달했다.

▲ 출산 전 건강상태에 따른 출산 후 당뇨병 발생 현황.

이는 정상체중 여성이 임신성 당뇨병 진료를 받은 경우 출산 후 당뇨병이 발생할 위험(HR 2.3배)보다 높은 수치다. 비만이 출산 후 당뇨병 발생의 주요 위험요인인 것이다.

고대구로병원 조금준 교수는 "임신 전 비만한 여성은 임신성 당뇨병 위험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출산 후 당뇨병 발생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이 증명됐다. 즉 산전 비만관리가 중요하다"며 "지역사회 산부인과 병(의)원에서 적극적인 산전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공단 유승현 건강상담센터장은 "공단은 임신성 당뇨병 관리를 위해 대한당뇨병학회와 공동으로 의학, 간호, 영양 등 각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을 운영, 콘텐츠와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다.

프로그램은 이달말부터 서울 지역에 거주하는 임신성 당뇨병 임신부를 대상으로 '임신성 당뇨병 통합관리프로그램'을 실시할 예정이다.

보건복지부 양찬희 출산정책과장은 "우리나라의 저출산 및 고령 임산부가 증가하는 현실에서 건강한 산모와 출생아를 위해 가임기 여성을 대상으로 한 비만관리 등 적극적인 산전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