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서울병원 홍진표 교수팀, 한국인 표본으로 BMI와 자살 관련 행동 상관관계 첫 규명

마른 사람이 비만한 사람보다 삶의 만족도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자살시도와 같은 극단적인 선택을 할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서울병원 홍진표 교수팀(정신건강의학과)은 한국인을 대상으로 진행된 대규모 정신건강역학조사(Korean Epidemiologic Catchment Area Replication)를 분석해 이 같이 밝혔다.

이번 연구는 한국인 표본집단으로 체질량지수(BMI)와 자살 관련 행동과의 상관관계를 처음 규명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

연구에서는 18~74세의 한국인 표본집단 5905명을 대상으로 △자살을 생각해 보거나 시도해본 경험이 있는지 △매일 스트레스를 얼마나 경험하는지 △삶에 얼마나 만족하는지 등을 평가했다.

또 전체 표본을 BMI 따라 △저체중군(BMI 18.5kg/㎡ 미만) △정상 체중군(18.5~22.95kg/㎡) △과체중군(23~24.9kg/㎡) △비만한 군(25kg/㎡ 이상)으로 나눠, BMI와 자살 관련 행동 사이의 연결고리가 있는지 살폈다. 

그 결과 저체중군은 정상 체중군에 비해 실제로 자살을 시도할 가능성이 2.4배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우울증, 불안, 알코올 사용 장애와 같은 정신과적 질환 여부를 보정했을 때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이와 함께 자살을 생각할 위험은 정상 체중군 대비 저체중군에서 1.6배, 비만한 군에서 1.3배 높았다. 즉 정상 범위에서 벗어난 체중은 자살을 생각하는 위험요인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삶의 만족도를 조사하는 항목에서는 저체중군에서만 경고등이 확인됐다. 저체중군은 정상 체중군에 비해 심한 스트레스에 시달릴 가능성이 1.7배, 삶에 만족하지 못하는 비율이 1.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저체중군에서 약 80%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던 젊은 미혼 여성이 실제로 비만하지 않음에도 스스로가 비만하다고 믿는 경향을 보였던 것과 무관하지 않은 결과다.

홍 교수는 "그동안 간과됐던 저체중 성인에서의 정신건강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는 연구"라며 "한국 사회에 만연한 마른 체형에 집착하는 문화를 개선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대한신경정신의학회 국제 영문학술지 3월호에 실렸다(Psychiatry Investig 2018;15(3):272-278).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