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사형 독감 치료제 페라미플루, 전년 동기 대비 4배 증가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이어진 지독한 독감 유행이 GC녹십자(대표 허은철)에 호재로 작용했다.
GC녹십자는 자사의 주사형 독감 치료제 페라미플루의 올해 1월 판매량이 24억원을 기록, 전년 동기 대비 약 4배 증가했다고 1일 밝혔다.
2010년 출시된 페라미플루는 최근 유행하고 있는 A형과 B형 독감 바이러스 감염증을 모두 치료하는 항바이러스제다.
캡슐 형태의 경구용 치료에와 약제 가루를 흡입하는 흡입식 치료제가 독감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는 가운데 페라미플루는 유일한 주사형 독감 치료제다.
회사 측은 페라미플루의 폭발적인 수요 증가는 최근 강력한 독감이 유행하면서 주사형 치료제의 장점에 대한 의료계와 환자들의 관심이 늘어난 데서 비롯됐다고 파악했다.
통상 5일 동안 총 10번에 거쳐 복용해야 하는 경구용 독감 치료제에 비해 페라미플루는 15~30분간 1회 투여만으로 치료 가능하다.
이 때문에 장기간 약을 삼키거나 코로 흡입하는 방식의 치료제 복용이 어려운 독감 환자와 중증 환자의 경우에도 손쉽게 투약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독감이 악화되기 전 빠른 치료가 가능한 것도 장점 중 하나다.
페라미플루는 우리나라와 일본, 대만 등에서 진행한 다국가 임상시험에서 경구용 치료제보다 초기 24시간 동안 정상 체온으로 회복되는 환자의 비율이 약 10%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독감 치료제 복용 시 발생하는 구토와 구역 등 약물 부작용이 경구용 치료제에 비해 낮다는 점도 주목할 부분이다.
GC녹십자 강정호 팀장은 “페라미플루가 차별화된 장점으로 독감 치료제 시장에서 새로운 대안으로 자리 잡고 있다”며 “B형 독감의 경우 고열과 오한 등 전반적인 독감 증상을 완화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경구용 치료제에 비해 절반에 불과한 만큼 B형 독감이 유행하는 2~4월 사이 제품 수요는 더 증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페라미플루는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항바이러스치료제의 국산화에도 기여하고 있다.
국내에서 전량 자체 생산·공급이 가능한 페라미플루는 국가 비축 의약품으로 지정된 이후 현재까지 40만 바이알, 20만 명 분을 정부에 공급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