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릎 인공관절 치환술에서 수정 경골 중심점 제시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김중일·정호정 교수(정형외과)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김중일·정호정 교수(정형외과)

[메디칼업저버 손재원 기자]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김중일·정호정 교수(정형외과) 연구팀이 아시아·태평양정형외과컴퓨터수술학회에서 우수 구연상을 수상했다.

해당 연구는 'CT 영상을 기반으로 한 무릎 로봇 인공관절 치환술에서 경골 중심점을 새롭게 수정해 설정함으로써 경골 후방 경사각의 수술 정확도를 개선한 연구' 논문이다. 

무릎 인공관절 수술에서 경골 후방 경사각은 매우 중요한 요소로 꼽힌다. 이 각도가 정확히 재현되지 않으면 무릎이 자연스럽게 구부러지지 않거나 수술 후 통증과 뻣뻣함이 생기고, 평지나 계단을 걸을 때 불편감이 나타날 수 있다. 

연구팀은 무릎 로봇 인공관절 치환술에서 경골 중심점을 새롭게 정의한 수정 경골 중심점(MTKC)을 제안했다.

기존 수술법에서는 무릎의 중심을 잡는 기준점이 실제 뼈의 해부학적 축과 완전히 일치하지 않아 후방 경사각이 부정확하게 계산되는 경우가 있다. 이로 인해 계획된 절삭 각도와 실제 수술 결과 간 미세한 오차가 발생하기도 했다.

연구팀은 이를 개선하기 위해 수정된 경골 중심점을 고안해 로봇이 뼈를 절삭할 때 각도를 보다 정확하게 맞출 수 있도록 했다. 

정호정 교수는 "기존 인공관절 수술에서 사용된 경골 중심점은 환자의 경골 후방 경사각을 과대 평가해 실제 수술 후 경사각이 작아지는 한계가 있었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시뮬레이션과 임상 검증을 거쳐 새로운 중심점을 도출했다"고 설명했다.

김중일 교수는 "단순히 수술 정확도를 개선하는 수준을 넘어 로봇 수술의 계획값과 실제 결과 간 불일치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교정할 수 있는 기준점을 제시한 것에 큰 의의가 있다"며 "앞으로도 환자별 해부학적 특성에 기반한 맞춤형 인공관절 수술 정밀화를 위해 연구를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