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대병원·빅5 중심 입원환자 크게 감소
내과, 127만명으로 줄어 절대 규모 감소 커

[메디칼업저버 김지예 기자] 의료대란 여파로 2024년 상급종합병원 47곳의 의료이익이 -1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확인됐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윤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상급종합병원 47곳의 회계자료를 분석하고 22일 이같이 발표했다. 

의료이익은 병원의 본질적 활동인 진료행위에서 발생한 순이익으로, 의료수익(입원수익, 외래수익 등 진료로 벌어들인 수입)에서 의료비용(인건비, 약제비, 진료 관련 경비 등)을 뺀 금액을 의미한다. 

분석에 따르면, 2023년 상급종합병원의 의료이익은 약 –310억 원 수준이었으나, 2024년에는 적자가 1조 원을 넘어서며 규모가 크게 확대됐다. 같은 기간 의료수입은 27조 2340억원에서 25조 610억원으로 약 2조 2000억원 가까이 줄어들었는데, 그중에서도 입원수익이 1조 8000억원 감소하며 가장 큰 폭의 하락을 기록했다. 이러한 여파로 2024년 전체 당기순이익이 -5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입원환자 감소 현황을 살펴보면, 국립대병원과 빅5병원 다수가 입원환자 감소 상위권에 포함됐다. 충북대병원이 전년대비 36.8%(8만 3000명)감소하며 감소율이 가장 컸고, 이어 서울대병원 32.8%(18만명), 연대 세브란스 32.6% (25만명), 서울아산병원 32.6%(30만명) 순 이었다.

진료과목별로 보면, 재활의학과의 감소율이 53.7%(24만명)로 가장 컸고, 이어 정신과46.6%(12만명), 정형외과44.5%(45만명) 순 이었다. 특히 내과에서는 127만명(22.1%)이 줄어 절대 규모로는 가장 많이 감소했다.

김윤 의원은 "의료대란의 피해는 단순한 수치가 아니라, 환자의 치료 기회 상실과 생명 위협으로 직결됐다"며 "특히 의료전달체계의 중추 역할을 하는 국립대병원과 빅5병원, 그리고 내과·외과 등 필수 진료과가 직격탄을 맞으면서 의료체계 전반이 흔들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의료대란으로 환자와 병원 모두에게 막대한 피해가 발생했다는 것이 객관적 자료로 확인됐다"며, "의료현장이 조속히 정상화될 수 있도록 국회, 정부와 의료계 등 모든 주체가 책임 있게 협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