政, 지역의료 연구역량 강화 지원 위해  3년간 500억원 투자

[메디칼업저버 신형주 기자] 정부가 국립대병원 중심의 지역의료 연구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3년간 500억원이 투입된다.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1일 지역의료 연구역량 강화 사업을 수행할 지역 국립대병원 5곳을 최종 선정했다.

선정된 국립대병원은 △강원대병원 △경북대병원 △전남대병원 △제주대병원 △충남대병원 등이다.

복지부는 지역의료 살리기의 핵심 과제로 국립대병원을 필수·공공의료 체계의 중추 기관으로 육성 중이다. 이를 위해 교육·연구·임상기능의 균형잡힌 발전이 필요하다.

복지부는 우수인력 확충, 인프라 첨단화, 혁신적 R&D 지원, 모래주머니 규제혁신 등의 패키지형 지원을 기획, 추진하고 있다.

특히 올해부터는 전임교원 증원(2025년 330명), 권역책임의료기관 최종치료 역량 강화 투자(2025년 812억원 신규) 등 대규모 지원과제에 본격 착수했다.

복지부는 여기에 더해 연구-임상의 선순환 발전 시스템을 구축하고 지역 간 의료격차 개선의 핵심 주춧돌로서 지역의료 연구역량 강화 사업을 본격 시행한다.

지역의료 연구역량 강화 사업은 3년간 국립대병원을 대상으로 보건의료 R&D의 핵심 요소인 인프라, 연구, 지원체계를 패키지 형태로 지원한다.

이를 위해 3년간 각 기관별 100억원 내외로 총 500억원이 투입된다.

지역 국립대병원의 연구 기반을 강화할 수 있는 핵심 인프라와 병원별 자체 특화 연구 수행을 위한 특화 인프라 구축을 지원할 계획이다. 지역 국립대병원이 지역의 산학연병 등과 협력해 연구계획을 수립하면, 블록펀딩 방식으로 연구비를 지원한다.

지역의학 연구협력 지원센터 운영도 지원해 안정적 연구수행을 위한 장비 활용, 자료수집 및 분석 담당 전문인력 운영 시스템도 갖추게 된다.

연구 분야와 방식은 지역의 필수의료 여건과 연구 수요를 종합해 국립대병원이 자유롭게 기획, 추진할 수 있다.

정통령 공공보건정책관은 "국립대병원은 권역책임의료기관으로서 지역의료의 교육·연구·임상을 모두 선도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춰야 한다"며 "이번 사업은 '전국 어디에서든 제때 치료받을 수 있는 필수·공공의료체계' 구축의 일환으로 임상 인프라 투자(권역책임의료기관 최종치료 역량 강화)와 함께 시너지를 발휘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어 "모든 국립대병원이 수도권 대형병원에 버금가는 연구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이번 사업을 시작으로 R&D 관련 투자도 전폭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