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청과와 산부인과 모두 없는 지자체 16곳
송석준 의원, 출산과 보육여건 지역 편차 심화 지원대책 시급

국민의힘 송석준 의원.
국민의힘 송석준 의원.

[메디칼업저버 신형주 기자] 최근 5년 사이 소아청소년과 662곳, 산부인과 275곳이 폐업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국민의힘 송석준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7년부터 2022년 8월까지 소아청소년과는 662개 기관이 폐원해 5년간 연평균 132개 폐업했다.

또 산부인과는 275개개 폐원해 5년간 연평균 55개가 사라졌다.

개원과 폐원을 합친 총 개수는 같은 기간 소아청소년과는 3308개에서 3247개로 61개가 감소했으며, 산부인과는 개원이 늘어 2051개에서 2144개로 93개 증가했다.

하지만, 소청과와 산부인과의 지역적 편차는 심화되고 있다.

2022년 8월말 기준 소청과와 산부인과가 하나도 설치되지 않은 지자체는 경상북도 5곳인 군위, 청송, 영양, 봉화, 울릉군이며, 강원도는 평창, 화천, 고성, 양양군이 해당됐다.

전라북도 역시 3곳인 무주, 장수, 임실군과 전라남도 2곳인 곡성과 구례군, 경상남도는 하동군과 산청군이었다.

반면, 서울시 강남구의경우 산부인과는 64개, 소청과는 41개 등 105개로 가장 많았다. 이어 경기도 부천시는 산부인과 33개, 소청과 57개로 90개가 진료하고 있다.

경기도 화성시는 산부인과 18개, 소청과 71개 등 89개 의료기관이 있으며, 대구시 달서구는 산부인과 30곳, 소청과 50곳 등 80개 의료기관이 진료 중이다.

서울시 송파구는 산부인과 31곳, 소청과 43곳으로 합계 74개 의료기관 존재했다.

한편, 산부인과는 없고 소청과만 설치돼 있는 지자체는 강원도 횡성과 정선군이며, 충남 태안군, 전남 영암군, 경북 고령군, 경남 의령군이었다.

산부인과만 개설돼 있는 지자체는 경기 연천군, 충북 괴산군, 전남 함평 및 신안군이었다.

송석준 의원은 "2022년 2분기 현재 우리나라 합계 출산율은 0.73명으로 매우 낮지만 출산과 보육 여건마저 지역적 편차가 크다"며 "출산과 보육 취약지에 대한 지원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