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진료기관 명칭 호흡기환자진료센터로 일원화
권역별 병상 공동활용 체계 구축…공동대응상황실 및 예비병상 확보 사전조치

[메디칼업저버 신형주 기자] 방역당국이 코로나19 재유행에 대비한 일반의료체계 내 의료 및 병상 대응체계를 점검한다.

권역별 병상 공동활용 체계를 구축하고, 예비병상 확보를 위한 사전조치도 실시할 방침이다.

중앙사고수습본부는 1일부터 기존 코로나19 진료 등을 담당해 온 호흡기의료기관, 외래진료센터, 전화상담 병의원 등의 명칭을 호흡기환자진료센터로 일원화해 운영한다.

특히 호흡기환자진료센터 중에서 검사와 대면진료, 치료제 처방까지 한 곳에서 모두 가능한 기관을 원스톱 진료기관으로 지정해 운영한다는 것이다.

코로나19 진료, 치료제 처방 및 확진자 진료체계.
코로나19 진료, 치료제 처방 및 확진자 진료체계.

7월 1일 기준 호흡기환자진료센터는 1만 2601개소를 확보했으며, 그 중 진단검사·진료·치료제 처방 등이 모두 가능한 원스톱 진료기관은 6206개소를 확보했다는 것이 방역당국의 설명이다.

방역당국은 원스톱 진료기관을 1만개소까지 확대해 재유행에 대비하고, 지역사회에서 신속하게 치료받을 수 있는 의료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또 방역당국은 코로나19 치료를 위한 병상대응체계도 정비한다.

치료병상의 경우, 오미크론 유행 시 입원환자 증가에 대응해 3월 3만개 이상의 병상을 확보하고, 입원대기를 최소화하면서 원활한 치료가 이뤄지도록 병상을 운영해 왔다.

이후, 확진자 감소세에 따라 병상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단계적으로 감축을 추진해 왔다.

가용 병상 자원의 효율적 활용을 위해 권역별 병상 공동활용 체계를 마련해 인접 지역끼리 7개의 권역을 설정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필요 시 권역 공동대응상황실을 통해 권역 내에서 병상 배정이 이뤄지도록 해 보다 탄력적으로 운영이 가능하도록 할 계획이다.

방역당국은 재유행을 대비해 이미 감축한 거점전담병원 등에 일반 병상 소개 및 전담병상 전환 협조를 요청해 필요 시 신속하게 예비병상이 확보될 수 있도록 사전 조치도 취할 예정이다.

방역당국은 "권역 내 지자체 간에는 병상대응 상황 및 향후 병상 운영계획 등을 공유해 권역별 병상 공동 배정을 위한 긴밀한 협조체계를 마련해 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중수본은 원활한 코로나19 치료를 위해 의료기관에 치료 및 음압병상 운영을 위한 의료장비 등을 지원해 왔다.

그간 350개 병원, 총 40개 품목의 2만 8000대를 지원했으며, 이들 장비는 국가전산시스템으로 전수 등록, 관리되고 있다.

정부 지원 의료장비는 국고보조금 교부 목적에 부합되는 용도로 사용해야 하고, 장비 내용연수 내 임의처분이 금지되는 것을 기본 원칙으로 하고 있다.

또, 코로나19 재유행, 신종 감염병 대응 시 해당 장비를 우선 활용하도록 하고 필요한 경우 의료기관 간 재배치해 활용할 수 있도록 운영하고 있다.

방역당국은 의료장비들이 잘 관리돼 환자 치료에 이용되고, 재유행 시에도 계속 활용될 수 있도록 의료장비 관리, 활용 방안을 마련했다.

7월 중 의료장비 관리지침을 마련해 의료기관에서 장비의 보관과 관리가 원활히 이뤄질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것이다.

의료기관에서 자체 보관이 어려운 이동형 음압기에 대해서는 별도 수요조사를 거쳐 정부에 반납을 희망하는 경우, 정부가 통합해 보관하도록 지속적으로 관리할 계획이다.

또, 재유행 시 각 의료기관이 보유한 장비를 코로나19 치료에 우선 활용하도록 하고 필요 시 정부가 보유한 물량을 재배치하도록 해 장비들이 적재적소에 쓰일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