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당국, 고령층 및 기저질환 환자 RAT 아닌 PCR 바로 진행
[메디칼업저버 신형주 기자] 방역당국이 코로나19 확진자가 대량으로 발생하고 있는 상황에서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RAT)의 정확도 PCR 검사의 정확 대비 95% 수준이라는 점을 들어 RAT 양성을 확진 판정으로 인정할 방침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 이상원 역학조사분석단장은 10일 정례브리핑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방역당국은 11일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RAT)를 최종 확진 판정에 활용하는 방안을 발표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하지만, 의료계 내부에서는 RAT 검사의 위양성률과 위음성률 발생에 따라 과잉진료 혹은 양성 환자를 놓칠 수 있다는 우려는 나타내고 있다.
이에, 이상원 역학조사분석단장은 "현재까진 역학적으로 판단해 본 결과 현재처럼 확진 발생률이 매우 높은 경우 위양성률이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며 "양성예측도가 높게 발생하는 기간 동안에는 확진을 함으로써 얻는 이익이 확진 판정을 지체하는 불이익보다 큰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RAT 검사에서 양성일 경우 PCR 검사에서 양성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90~95% 이상 높다"며 "약간의 측정 범위에서 에러가 있더라도 전반적으로 큰 틀림은 없으로 판단한다"고 강조했다.
이상원 분석단장에 따르면, PCR은 음성인데 RAT가 양성인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는 검사 시점의 차이 때문이라는 것이다.
감염된 사람과 다른 사람이 접촉했을 경우 바이러스가 몸속에 침입해 증식하는데 시간이 필요하다.
접촉한지 얼마 안되는 시간 동안은 PCR 검사를 하더라도 음성이 나올 수 있다.
하지만, 시간이 경과해 몸에서 바이러스가 증식되고 바이러스가 배출되는 시기에는 항원검사를 하더라도 오히려 양성이 나올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즉 PCR 검사를 할 때 비교적 소량이었고, 접촉한지 얼마 안되는 시점에서 검사는 음성이 나올 수 있지만, 시간이 지난 이후 RAT 검사를 했을 때는 양성이 나올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또, RAT 검사는 PCR 검사와 다르게 검사키트에 있는 항체와 몸 속 바이러스 항원을 반응시키는 방식으로 약간의 위양성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위양성과 위음성에 대한 우려보다 검사 지체에 따른 확진자 확산의 불이익이 더 크기 때문에 RAT 검사를 통한 신속한 확진 판정이 코로나19 확산 방지에 더 효과적이라는 것이다.
이 분석단장은 RAT 위양성과 위음성에 대한 보완책에 대해 "고위험군인 고령층과 기저질환이 있는 환자는 RAT 검사가 아닌 PCR 검사를 바로 진행하도록 권고하고 있다"며 "가장 먼저 PCR 검사가 필요한 환자는 PCR 검사를 우선으로 한다는 원칙에서 진행된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