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대병원, 1차 접종 후 이상반응과 해열제 복용 후 항체 반응 연구 논문

중앙대병원 소아청소년과 박지영 교수(왼쪽)와 감염내과 정진원 교수.
중앙대병원 소아청소년과 박지영 교수(왼쪽)와 감염내과 정진원 교수.

[메디칼업저버 정윤식 기자] 코로나19(COVID-19) 대유행으로 감염 예방을 위해 예방 백신 접종이 시행되고 있는 가운데 백신 접종 후 발열, 근육통, 두통 등의 이상반응으로 인해 해열진통제를 복용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백신 접종 후 부작용 발생 시 해열진통제를 복용하면 백신의 효과가 떨어지거나 이상반응이 없는 경우 오히려 백신 효과가 없어지는 것은 아닌지 우려하는 목소리도 크다.

이에 중앙대병원 박지영 교수(소아청소년과)와 정진원 교수(감염내과) 연구팀은 최근 '아스트라제네카 코로나 백신 1차 접종 후 이상반응 및 해열진통제 사용에 따른 중화항체 반응 예측(Systemic Adverse Events and Use of Antipyretics Predict the Neutralizing Antibody Positivity Early after the First Dose of ChAdOx1 Coronavirus Disease Vaccine)'에 관한 연구 논문을 발표했다고 19일 밝혔다.

연구팀은 병원에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ChAdOx1)을 1차 접종한 의료인 182명을 대상으로 백신 접종 후 이상반응이 바이러스의 감염을 방어하는 중화항체 생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와 해열진통제의 영향을 조사했다.

그 결과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1차 접종 의료인의 94.5%(172명)가 한 가지 이상의 이상반응을 경험했고, 81.3%(148명)는 백신 접종 후 바이러스 감염을 방어하는 중화항체가 생성된 것으로 확인됐다.

백신 접종자의 가장 흔한 이상반응은 근육통, 관절통이었고 접종 부위의 통증, 피로감, 오한, 발열, 두통 순으로 여성에서 전신 및 국소 이상반응 정도가 심하게 나타났다. 

단, 연령이 증가할수록 이상반응 정도가 덜한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연구 참여자의 81.9%(149명)가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의 해열진통제를 복용했는데, 백신 접종 후 항체 형성 양성그룹이 음성그룹에 비해 더 많은 비율의 해열제를 복용한 것으로 확인됐다. 

즉, 백신 접종 후 해열진통제를 복용하더라도 항체 반응이 약화되지 않아 백신 효과가 유효한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아울러 백신 접종 후 감염을 예방하는 중화항체가 형성된 양성그룹에서는 전신 이상반응 정도가 심했는데, 중화항체 값 자체는 전신 이상반응 정도가 심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정 교수는 "연구에 참여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자 대부분이 이상반응을 보고했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백신 접종으로 인한 이상반응과 항체 형성의 연관성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백신 접종 후 해열제를 복용해도 항체 반응 약화를 보이지 않기 때문에 백신 이상반응 발생 시 증상 조절을 위해 적극적으로 해열제를 복용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연구 논문은 SCI급 국제저널 임상의학저널 'Journal of Clincal Medicine(IF 4.241)' 최신호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