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노바백스 백신 허가 절차 신속진행 합의
글로벌 공급분 생산 위한 원부자재, 국내 생산에도 상호 활용
[메디칼업저버 김나현 기자] 정부가 노바백스사의 코로나19(COVID-19) 백신생산 기술이전 계약 연장을 추진하고, 국내 조기 공급을 위해 신속한 허가 절차에 돌입한다.
범정부 백신도입 TF는 27일 오후 브리핑을 갖고 우리나라를 방문한 노바백스 스탠리 어크 회장과의 면담 내용을 설명했다.
현재 정부는 총 1억 9200만회분(9900만명분)의 백신 물량을 확보했으며, 이 중 노바백스 백신은 총 4000만회분(2000만명분)에 해당한다.
노바백스 백신은 연말까지 순차적으로 공급될 계획이며, 3분기까지는 최대 2000만회분이 공급될 예정이다.
특히 노바백스 백신은 국내 기업이 생산한 백신을 해외 기업이 판매하는 기존의 위탁 생산 방식과는 달리, 기술 이전 방식으로 코로나19 백신을 국내 기업이 생산하고 우리 정부에 판매하는 방식이다.
이날 면담 결과 정부와 노바백스사는 내년에도 백신 생산·활용이 가능하도록 기술 이전 생산방식 계약 연장을 추진하기로 했다.
당초 SK바이오사이언스와 노바백스는 백신 원액 생산은 올해 말까지, 완제 충전은 내년까지 기술 이전 생산방식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이에 정부는 변이바이러스에 대응하고 백신의 안정적 공급을 위해 원액 생산에 대한 기술 이전 생산방식 계약 연장을 추진하기로 했다.
범정부 백신도입 TF 이기일 실무지원단장은 "구체적인 일정은 SK바이언스와 정부, 노바백스 간 논의해야 한다"며 "추가적인 부대조건과 가격인상은 없었다"고 설명했다.
또한 정부와 노바백스 간 백신 생산에 필요한 원부자재 수급에 대한 협력도 강화하기로 했다.
최근 SK바이오사이언스는 국내에 공급할 예정이던 노바백스 백신 생산에 대한 원부자재 확보 어려움이 있었으나, 정부는 개별 원부자재 생산 기업 등과 일대일 협의를 통해 원부자재 수급 문제를 공동으로 대응한 바 있다.
노바백스사는 국내 공급 백신의 원활한 생산을 위하 글로벌 공급분 생산을 위한 원부자재를 국내 공급분 생산에도 상호 활용할 수 있도록 협력하기로 했다.
노바백스사는 국내 공급 백신의 원활한 생산을 위해 글로벌 공급분 생산을 위한 원부자재를 국내 공급분 생산에도 상호 활용할 수 있도록 협력하기로 했다.
노바백스 백신이 조기에 국내 예방접종에 활용되도록 허가 절차도 신속히 진행한다.
노바백스사는 현재 영국에서 임상 3상을 마치고, 영국 및 유럽 등에서 허가 절차를 우선 진행했으나 앞으로는 우리나라도 해당 국가와 병행해 허가 절차를 진행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노바백스사는 허가에 필요한 자료를 우리나라에 조기에 제출하고,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노바백스 백신심사반' 운영을 통해 백신의 안전성이나 효과를 신속히 검토할 방침이다.
권덕철 범정부 백신 도입 TF 팀장(보건복지부 장관)은 "기술 이전을 통한 공급 생산은 의미가 크다. 우리나라에서 생산한 백신을 한국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이 된다"며 "우리나라가 백신 생산국가로서 큰 의미를 갖고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어 "6월 말까지 1차접종이 완료되면 우리 사회는 코로나로부터 훨씬 안전할 것"이라며 "정부의 설명과 안내를 믿고 백신 예방접종에 적극 동참해 주기를 요청한다"고 덧붙였다.
- 政, 화이자 코로나19 백신 4천만회분 추가 계약 체결
- 政 "백신 본격 들어오면 하루 150만명 접종 가능"
- 연내 7900만명분 백신 확보 위해 범정부 역량 총동원
- 코로나로 날개 단 SK, 백신명가 녹십자 위협하나
- SK바이오사이언스, 노바백스 백신 권리 획득
- 방역당국, 방역수칙 위반 사업장 손실보상 제한
- 예방접종센터 257개소 운영…1차접종 300만명 달성
- 의협 코로나19 극복 위한 백신접종 적극 동참
- 2분기 코로나19 백신접종대상 60~74세로 확대
- SK바이오사이언스, 유럽 EU-GMP 인증 획득
- 권덕철 장관, 코로나19 백신 생산확대 국제협력 촉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