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개 상급종병 참여한 제1차 첨단재생의료 실시기관 간담회 개최
[메디칼업저버 신형주 기자] 보건복지부는 3일 첨단재생의료 실시기관으로 지정된 22개 상급종합병원과 재생의료 정책방향에 따른 임상연구 활성화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번 설명회는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안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조건부로 지정된 첨단재생의료실시기관의 기관장 및 재생의료연구책임자 등이 참석했다.
정부는 향후 5년간 재생의료 정책 방향에 대한 세부추진 계획에 대해 현장의 의견을 수렴하고, 재생의료실시기관에서 올해 중 계획중인 20개 내외의 재생의료 임상연구가 엄격한 안전관리체계내에서 진행될 수 있도록 재생의료실시기관장의 적극적 관심과 지원을 요청했다.
정부는 재생의료실시기관의 임상연구에 대한 정부의 연구개발 지원을 확대하고 공익목적의 임상연구에 대한 건강보험 지원 절차를 간소화하는 등 재생의료 분야 임상연구를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우선,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심의위원회 최종 승인을 받은 재생의료실시기관의 임상연구에 대해 별도 선정 절차를 거쳐 올해부터 향후 3년간 340억원 규모의 R&D 예산을 지원한다.
또, 건강보험의 공익목적 임상연구 지원 절차를 재생의료 임상연구 심의 신청단계에서 통합적으로 신청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해 재생의료 분야 임상연구가 조속히 진행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현재 22개 상급종합병원에 이어 올해 상반기 중 종합병원급 이상 병원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명회 등을 개최할 예정이다.
첨단재생의료실시기관 지정 신청을 희망하는 의료기관은 시설·장비·인력·표준작업지침서 등 첨단재생의료 안전 및 지원에 관한 규칙 제3조에 따른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지정기준 관련 세부사항 등은 온라인 설명회를 통해 안내할 계획이다.
강도태 복지부 제2차관은 "첨단재생의료는 과거의 의학으로는 불가능한 영역이라고 여겨지던 많은 희귀·난치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혁신적 의료기술 분야로 엄격한 안전관리체계 내에서 새로운 치료방법이 임상현장에 적용될 수 있도록 재생의료 임상연구 활성화에 정책적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