政, 2021년도 정신질환 치료비 지원 대상자 및 지원범위 확대

[메디칼업저버 신형주 기자] 입원이 꼭 필요한 정신응급 및 행정입원 치료비 본인부담금이 전액 국고로 지원된다.

보건복지부는 정신질환 발병 초기 집중 치료를 유도하기 위해 정신질환 치료비 지원 대상자를 확대하고, 질환의 범위도 확대한다.

정신질환자 치료비 지원사업은 정신질환자의 발병 초기 집중치료 유도, 응급상황 입원 및 퇴원 후 적절한 치료 유도를 위한 사업으로 올해부터 확대 적용한다는 것이다.

우선, 자타해의 위험성이 높아 대상자의 긴급한 처치가 필요한 응급·행정입원의 경우 소득수준과 관계없이 본인이 부담해야 하는 치료비를 전액 지원한다.

발병 초기 정신질환과 외래치료 지원에 대해서는 이제까지 중위소득 65% 이하 대상자에게 지원하던 것을 올해부터 80% 이하까지 확대한다는 것이다.

발병 초기 환자에 대한 치료비 지원 대상 질환은 기존 조현병, 분열 및 망상장애에서 기분장애 일부까지 확대해 중증정신질환자가 진단 초기부터 적극적으로 치료를 통해 만성화를 예방할 수 있도록 했다.

또, 1인당 연간 최대 450만원의 상한액을 정해 적절한 수준의 치료비를 지원한다.

한편, 이제까지 건강보험 혜택을 받지 못했던 경우에도 정신질환 치료비 혜택을 받을수 있도록 했다.

주민등록말소자는 주민등록을 재등록하고, 건강보험 미가입자는 건강보험 가입 후 치료비 지원을 신청할 수 있고, 외국인에 대해서도 치료비 지원이 가능하다.

치료비 지원 신청은 환자를 진료한 정신의료기관 또는 진료비를 납부한 환자 등이 보건소에 신청하면 된다.

염민섭 정신건강정책관은 "이번 치료비 지원 대상자와 범위 확대를 통해 정신질환자가 적시에 적절하고 꾸준한 치료를 받아 치료 중단으로 인한 급성기 위험과 만성화를 예방하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