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오세일 교수팀, 초미세먼지 농도와 급성심정지 발생률 관계 밝혀

국내 연구팀이 초미세먼지농도와 급성심정지 발생률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오세일 교수 연구팀이 초미세먼지 농도가 10μg/m3 높을수록 급성심정지 발생률이 1.3% 증가한다고 밝혔다. 또 국내 환경 기준인 일평균 50μg/m3이상인 날은 10μg/m3이하인 날에 비해 급성심정지 발생률이 13%나 높다는 것도 알아냈다.
연구팀은 2006~2013년 서울에서 발생한 급성심정지 21,509건을 당일 초미세먼지 농도와 함께 분석했다. 그 결과 초미세먼지 농도가 10μg/m3 증가할수록 급성심정지가 1.3% 증가했다.
각종 대기오염 물질 중에서도 초미세먼지가 급성심정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는데, 초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당일보다는 1-2일 후에 위험률이 가장 높았다.
여성보다는 남성이, 젊은 사람보다는 60세 이상의 고령 인구가, 정상인 보다는 고혈압, 당뇨 등 기저 질환이 있는 사람이 초미세먼지에 따른 위험률이 높았다.
연구팀은 "국내 초미세먼지 환경 기준을 강화해야 한다"며 "국내에서는 초미세먼지 환경기준을 연평균 25μg/m3, 일평균 50μg/m3 로 삼고 있다. 즉 초미세먼지 농도가 50μg/m3 이하인 날은 대기오염 수준을 '보통'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또 "WHO 권고 기준인 연평균 10μg/m3, 미국의 환경 기준인 연평균 12μg/m3 보다도 높다"고 덧붙였다.
.

오세일 교수팀의 연구에 따르면 일평균 초미세먼지 농도가 50μg/m3 이상인 날은 10μg/m3 이하인 날에 비해 급성심정지 발생률이 무려 13%나 증가했다. 심지어 10-15μg/m3 로 '안전'하다고 생각되는 농도에서도 급성 심정지 위험이 10μg/m3이하에 비해 높았다.
오세일 교수는 "초미세먼지는 지름이 2.5μm(마이크로미터, 1μm=1,000분의 1mm) 미만의 초미세 먼지입자이기 때문에 호흡기 뿐 아니라 혈관으로도 흡수되어 뇌졸중이나 심장질환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며 "이번 연구는 서울에서 발생한 급성심정지 자료를 체계적으로 분석한 것으로, 지금까지 국제 학계에 보고된 관련 연구 중 가장 큰 규모다" 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국제심장학회지(International Journal of Cardiology) 최신호에 발표했다(제1저자 분당서울대학교병원 강시혁 전임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