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연구진이 뇌에 혈액을 전달하는 '뇌경동맥' 끝부분이 점점 좁아지는 '모야모야병'의 새로운 수술법을 알아냈다.분당서울대병원 뇌혈관센터 오창완(사진 왼쪽), 방재승 교수팀은 성인 모야모야병 환자 65명에서 시행한 75례의 뇌혈관 우회술을 6개월 후 신생혈관 생성 정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했다.
그 결과 직접 뇌혈관문합술(54.7%)이 간접 뇌혈관 문합술(32.4%)보다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두 수술을 동시에 시행했을 때의 신생 뇌혈관 생성 정도는 70.8%로 각 수술을 단독으로 시행했을 때 보다 월등한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앞으로 모야모야병 환자에게 병합 뇌혈관 문합술을 적극적으로 시행하면 뇌관류적 측면에서 거의 정상에 가까울 정도로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고, 뇌허혈 증상의 재발도 상당히 막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오창완 교수는 "지금까지 뇌혈관 문합술의 종류에 따른 신생 혈관 정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한 자료는 없던 실정이라, 수술 방법을 정할 때는 환자의 뇌혈관 폐색 정도나 검사 결과에 따른 병의 경중도에 의존해야 했다"며 "이번 연구 결과는 성인 모야모야병에 국한돼 진행된 것이지만, 각 수술마다의 효과 차이가 뚜렷해 환자들이 수술을 앞두고 느끼던 불안감을 일부 해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이는 일상생활로의 빠른 복귀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모야모야병은 동맥이 좁아짐에 따라 작은 혈관들이 흡사 연기가 피어오르는 것처럼 자라 붙여진 이름으로 10세 전후의 어린이와 30~40세 사이에서 호발된다.
관련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