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national Lunch Conference 좌장 서울의대 김효수 교수
이번 AHA 학술대회는 예년과 달리 International Lunch Conference을 마련, 대표 국가들의 5가지 우수연제를 발표하는 프로그램을 마련해 눈길을 끌었다.
AHA가 총 8개 국가를 선별했고, 이중에는 대한민국도 포함됐다. 한국 컨퍼런스의 책임자는 서울대병원 심장내과 김효수 교수였다.
김 교수는 13일 학술대회 현장에서 가진 본지와 인터뷰에서 "컨퍼런스에서 발표된 5개의 주제들은 AHA에서 인정받은 우수한 연구들"이라면서 "이는 국내의 높은 연구수준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세션에서는 울산의대 송은경 교수의 비타민 C 연구를 비롯해 서울의대 조현주 교수, 연세의대 윤종찬 교수, 연세의대 정보영 교수, 성균관의대 박승정 교수 등이 각각 vacular calcification, T-cell, 줄기세포 등 기초연구들에 대한 발표를 가졌다.
김 교수는 이날 마지막 연자로 나와 혁신형 세포치료 연구중심병원 사업단(IRICT)과 국내 줄기세포 분야 R&D 투자 경향, 대한심장학회의 성장 등의 내용을 소개했다.
이 중에서도 김 교수가 무게를 둔 부분은 줄기세포 분야와 이에 대한 지속적인 R&D 투자 상승이다. 현재 김 교수가 집중하고 있는 분야는 줄기세포와 혈관관련 분야로, 김 교수는 "줄기세포는 IRICT에서 진행하고 있는 MAGIC cell 프로그램이 실용화를 위한 근거확보 단계까지 와있고, 혈관관련 연구는 이미 임상적용이 가능한 수준"이라고 말했다.
이에 김 교수는 사망률에서의 혜택을 입증하기 위한 MAGIC cell 6 priming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 연구는 연구소 실험단계에서 말초혈액세포에서 추출한 tie2 수용체와 Ang1 간의 연결을 통한 타 조직 활용 가능성을 입증했고, 현재 인간세포에서의 적용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통해 심혈관사건의 감소를 입증한다는 것이다.
김 교수는 "IRICT 1기의 성과를 대변하는 MAGIC cell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지속적으로 발전해 나갈 것이다"며, "줄기세포에 대한 국내 R&D 투자규모는 현재 미국, 일본, 호주 등과 함께 10위권이고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며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에도 높은 기대감을 보였다.
한편 유럽에서도 3300여명을 대상으로 진행하고 있는 BAMI 연구가 MAGIC cell 6 priming과 함께 실용화를 위한 근거구축을 위해 진행되고 있어 이와의 경쟁구도에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관련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