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권준수 교수팀, 템플스테이 프로그램 연구
프로그램 참여자, 대조군보다 회복탄력성 상승
템플스테이 프로그램 과학적 효과 입증 의미

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권준수 교수
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권준수 교수

[메디칼업저버 박선재 기자] 국내 연구팀이 사찰 생활 체험이 정신건강에 좋다는 것을 과학적 연구를 통해 밝혀냈다. 

서울대병원 권준수 교수(정신건강의학과)팀이 2014-2015년 2년간 지리산 대원사의 3박 4일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직장인 5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시작했다.

총 12그룹으로 나눠 33명은 사찰에서 마련한 프로그램에 참여했고, 17명은 같은 장소에서 숙식을 했지만 자유롭게 생활했다.  

연구 결과, 템플스테이 프로그램 참가자들은 대조군과 비교해 일상생활에서 스트레스에 잘 견디게 해주는 지표인 회복탄력성이 상승했다. 효과는 이 기간에만 잠시 상승한 것이 아니라 3개월 후에도 높게 지속됐다. 

연구팀은 회복탄력성 변화가 단순히 심리적 변화인지 뇌의 변화로 인한 것인지 메커니즘을 밝히기 위해 기능성 뇌 자기공명영상(fMRI)과 확산텐서 영상(DTI) 연구를 추가로 실시했다. 

그 결과 템플스테이 참가자들은 대조군에 비해 디폴트모드 네트워크의 기능적 연결성이 더욱 강화됐다. 

템플스테이 참가자들이 대조군에 비해 템플스테이 수행 후 디폴트모드 네트워크를 이루는 쐐기앞소엽(precuneus, 점선)와 내측상전두엽(실선) 부분의 강도가 유의하게 증가했다. (붉은색에서 노란색으로 변할수록 강도 증가)
템플스테이 참가자들이 대조군에 비해 템플스테이 수행 후 디폴트모드 네트워크를 이루는 쐐기앞소엽(precuneus, 점선)와 내측상전두엽(실선) 부분의 강도가 유의하게 증가했다. (붉은색에서 노란색으로 변할수록 강도 증가)

뇌는 다양한 부위가 함께 네트워크로 작동하면서 신호를 해석하고 처리한다. 반면 휴식을 취할 때만 활성화되는 뇌 부위들의 연합이 디폴트모드 네트워크다. 

일을 하지 않을 때 의식의 초점이 외부가 아닌 자기 자신으로 향하기 때문에 가장 초기상태라는 의미에서 디폴트모드라고 부른다. 템플스테이가 디폴트모드 네트워크를 강화시키는 것은 단순히 휴식을 취하는 것 보다 뇌에 더욱 깊은 휴식을 선사한다고 추정할 수 있다. 

연구팀은 템플스테이 참가자들이 전두엽과 두정엽 사이 그리고 뇌의 좌·우반구를 연결해주는 백질다발의 연결성이 더욱 향상됐다는 것도 알아냈다. 

템플스테이 참가자가 대조군에 비해 연구 수행 후 유의하게 향상된 백질영역
템플스테이 참가자가 대조군에 비해 연구 수행 후 유의하게 향상된 백질영역

인간의 뇌 세포가 쇠퇴와 생성을 거듭한다는 뇌 가소성을 지지해주는 것이다. 신체적 활동도 적은 템플스테이가 짧은 기간만으로도 충분히 뇌를 변화시키고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을 키워 정신건강 유지에 큰 도움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권준수 교수는 "이미 우리에게 오랜 경험이 있는 명상 분야가 서양의 시선으로 과학적 연구가 진행돼 안타깝다"고 토로했다. 

실제 템플스테이는 좌선, 입선, 행선, 와선 같은 다양한 형태의 명상 뿐 아니라 예불, 발우공양, 운력, 차담 등 여러 명상활동, 신체활동, 지적활동으로 구성돼 서양의 그것에 비해 더욱 통합적이고 입체적인 활동이라 할 수 있다. 

권 교수는 "요즘처럼 복잡하고 스트레스가 많은 시대에 자신의 정신건강을 스스로 다스리는 방법으로 템플스테이가 매우 유용하다"며 "향후 회복탄력성을 증가시켜 정신질환의 발병을 예방하거나 새로운 치료법으로서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서양 주도의 명상 프로그램이 아니라 한국 고유의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을 통해 확인했다는 점에서 더욱 시선을 끌고 있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과학기술분야 기초연구사업의 후원으로 서울대병원과 한국불교문화사업단이 공동으로 진행했다. 

 연구결과 중 뇌의 백질다발 연결성 증가는 '마음챙김(Mindfulness)', 회복탄력성 상승은 '정신건강&의학(Psychology Health & Medicine)', 뇌의 디폴트모드 네트워크 강화는 '신경과학프론티어스(Frontiers in Human Neuroscience)' 등의 학술지에 각각 게재됐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