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암센터 한충용 박사팀, 부작용 줄인 CAR-T 치료제 개발

 

국내 연구팀이 암 정복에 한걸음 다가섰다는 평가를 받은 CAR-T 치료제(카메라 항원 수용체 T세포 치료제, chimeric antigen receptor T cell)에 대한 새로운 연구를 발표했다.

CAR-T 치료제는 면역세포인 T세포에 CAR 유전자를 넣어 재조합해 암세포를 공격하게 만드는 면역세포 치료제이다. 그러나 출시된 기존 치료제들이 암세포뿐 아니라 정상세포까지 공격하면서 B 세포 무형성증이나 사이토카인 방출 증후군과 같은 부작용이 발생했다. 

* B세포 무형성증(B cell aplasia): CD19를 타깃으로 하는 CAR-T에 의해 공격받아 정상B세포가 대량 사망하는 것    

* 사이토카인 방출 증후군(CRS, cytokine release syndrome): 암세포를 죽이는 과정에서 면역세포가 분비하는 '사이토카인'이 짧은 시간 내 많은 양이 방출되면서 저혈압이나 발열 증상이 생기는데, 심하면 사망에 이름

국립암센터(원장 이은숙) 면역치료연구과 한충용 박사와 면역항암제 개발 벤처인 유틸렉스(대표 권병세) 공동 연구팀이 기존 CAR-T 치료제의 부작용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새로운 치료제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국립암센터-유틸렉스가 개발 중인 치료제는 기존에 출시된 CAR-T가 대부분 'CD19' 표지자를 타깃으로 하는데 반해 'HLA-DR'을 타깃으로 한다. 

CD19는 정상세포와 암세포에서 동일한 비율로 분포하기 때문에 CD19를 타깃으로 하면 악성종양 관해에 효과적이지만 정상 B세포도 함께 공격받는다. 

반면 HLA-DR은 정상 B세포가 악성 B세포로 변하면서 발현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공격하는 한편 정상세포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 치료제는 CAR 발현량을 자가조절(autotuning) 하도록 설계돼 있어 자칫 과발현되어 정상세포를 공격할 가능성을 떨어뜨린다. 

한충용 박사는 "기존의 CAR-T 치료제는 우리 몸이 지닌 일반적인 T세포와 기능적 차이가 나는데, 이번 연구에서 새롭게 개발한 CAR-T 치료제는 일반적인 T세포 고유의 성질을 적용하여 기존 치료제의 부작용을 완화시키는 방법을 제시했다"고 연구의의를 밝혔다. 

이번 연구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최근호에 발표됐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