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IRE 1 / SPIRE 2 통합 데이터 ACC서 발표

 

부작용 논란으로 개발이 중단됐던 PCSK9 억제제인 보코시주맙(bococizumab)의 심혈관 통합 데이터가 미국심장학회(ACC)에서 공개됐다. 결론적으로 고위험군에서 효과가 있었지만 그에 따른 부작용도 많이 발생했다.

ACC는 17일 보코시주맙(bococizumab)의 대규모 연구인 SPIRE 1과 SPIRE 2 연구의 혼합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동시에 NEJM에도 실렸다.

보코시주맙은 임상 중 일부 환자에서 면역반응이 나타나고 또 일부는 시간이 지나면서 LDD-C 가 감소되는 등 문제가 발생되자 지난해 11월 화이자는 개발 중단을 선언했다. 이번에 발표된 자료는 그간 진행된 연구의 통합 데이터이다.

보코시주맙은 SPIRE 프로그램을 통해 두 개의 무작위, 위약통제 심혈관 예후 연구를 포함하고 있다. SPIRE 1의 경우 베이스라인 LDL-C이 70mg/dL 이상 또는 non-HDLC 100mg/dL 이상인 환자 1만6500여명이 참여했으며, SPIRE 2 연구는 LDL-C 100mg/dL 이상 또는 non-HDL-C 130mg/dL 이상의 조건을 만족하는 1만500명이 참여했다. 연구별로 보면 고위험과 저위험군 환자로 나눠 진행된 연구이다.

참여한 환자들의 대부부은 이전에 심혈관 사건 병력 또는 질환이 있거나, 일부는 당뇨병, 만성콩팥병, 말초동맥질환 등 기타 심혈관 위험을 증가시키는 질환도 보유하고 있었다. 이로 인해 93% 환자가는 스타틴 치료를 받고 있었다.

관찰 결과, 보코시주맙 치료 14주 만에 뚜렷한 지질 별화가 나타났다. 치료 14주와 52주 시점에서 베이스라인 대비 LDL-C 변화는 각각 -56.0%, -41.8%였다. 또한 총 콜레스테롤(TC)도 각각 -35.2%, -26%로 변화를 보였다.

Non-HDL-C 또한 14주와 52주 각각 -50.9%, -39.5% 의 변화가 나타났고, HDL-C는 7.6%, 8.1% 증가해, 좋은 콜레스테롤 상승 효과도 확인됐다. 중성지방은 -13.6%, -5.9%의 변화가 나타났다. 위약군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거의 변화가 없었다.

다만 이같은 변화에도 불구하고 1차 종료점으로 정의한 비치명적 심근경색, 비치명적 뇌졸중, 긴급 재관류술이 필요한 비안정형 협십증 입원, 심혈관 사망 등 복합 심혈관 발생률은 차이가 없었다.

평균 10개월 관찰한 결과, 복합 심혈관 발생률은 보코시주맙이 3.16%였으며, 위약군은 3.59%로 유사했다(95% CI, 0.76 to 1.02; P=0.08).

저위험군을 대상으로 한 SPIRE 1연구에서는 복합심혈관 발생률이 보코시주맙과 위약군 각각 3.01%와 3.02%(hazard ratio, 0.99; 95% confidence interval [CI], 0.80 to 1.22; P = 0.94)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에 고위험군 환자가 포함된 SPIRE 2 연구에서는 3.32%와 4.19%(hazard ratio, 0.79; 95% CI, 0.65 to 0.97; P = 0.02)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통합 결과에서 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것은 SPIRE 1 연구 결과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브링검여성병원 Paul M. Ridker 박사는 "이번 결과는 스타인으로 기대할 수 있는 것 이상으로 LDL-C를 추가적으로 낮추면 심혈관 사건 발생을 더 낮출 수 있다는 일반적인 근거를 지지하는 결과이며, 특히 LDL 수치가 높은 매우 고위험 환자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고 평가했다.

이어 그는 "PCSK9 억제제가 심혈관 사건 발생을 낮출 수 있다는 일반적인 가설을 뒷받침하는 것 외에도 인간단일클론 항체와 인간화단일클론 항체약물간 차이도 있고, 또한 중요하는 것을 발견한 의미있는 연구 결과"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상반응은 압도적으로 많았다. 보코시주맙군의 모든 이상반응은 위약대비14% 더 많이 발생했는데, 약물 중단을 결정해야 할 이상반응은 49% 더 많이 발생했다. 주사 부위의 자극반응은 위약대비 4.7배나 높게 발생했고, 주사 부위 반응은 8.33배나 많았다. 결국 이런 문제가 임상 중단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작용했을 것으로 관측된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