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선혜 기자

비싼 검사로 평가받던 수면다원검사의 급여화가 급물살을 타고 있다. 보건복지부와 대한수면학회에 따르면, 급여화에 대해 대부분 합의를 이뤘고 최근 향후 운영방안을 논의하는 자리를 가졌다. 이에 따라 올해 안에는 급여화가 확실시 된다.

수면다원검사 급여화가 최종 결정되면 1회당 50~100만 원에 달하는 비싼 비용 때문에 검사를 주저했던 환자들의 경제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자연스레 수면장애 치료법도 빠르게 급여화가 될 것이란 긍정적인 전망도 나온다.

이런 가운데 상당수 개원의가 수면다원검사실 운영을 고민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벌써부터 밥그릇 싸움을 예고하고 있다. 이에 대해 수면 전문가들의 저항이 만만찮은 상황.

한 대학병원 교수는 "수면다원검사는 잠자는 동안 환자의 뇌파, 심전도, 산소포화 농도 등을 모두 확인해야 하는 복잡한 검사다. 급여화가 되면 비전문가들도 너도나도 뛰어들면서 검사가 제대로 진행되지 않고 남발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에 따라 대한수면학회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학회는 수면다원검사의 질관리를 위해 검사를 할 수 있는 자격 기준을 정하고, 기존에 운영하던 의료진에 대해서는 매년 학술대회에 참석해서 6시간 재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구체적인 운영 방안에 대해서는 학회 내에서도 한목소리를 내지 못하는 실정이다. 수면장애만 보는 특정 진료과가 있지 않고 신경과, 정신건강의학과, 이비인후과 등에 다양하게 포진돼 있어 진료과별로 다른 자격 기준을 내세우고 있는 것. 

게다가 과연 많은 의료진이 학술대회에 참석해 수면다원검사 재교육을 받을지도 미지수다.

수면 전문가들의 숙원이었던 수면다원검사의 급여화를 이뤄놓고 정작 질관리는 못하는 우를 범해선 안 된다. 명확하지 않은 자격 기준과 병원마다 같은 검사 질을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지 않는다면 의료계는 혼돈에 빠질 것이다. 자칫 밥그릇 싸움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학회 내 단합된 목소리와 철저한 운영방안 마련을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