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혈관 위험 평가에서 경동맥 IMT 및 플라크 측정

JACC Cardiovasc Imaging. 2014;7:1025-38 

연구 배경
최근 미국 심장학회/심장협회(American Heart Association/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AHA/ACC)는 중등증의 심혈관질환 위험도가 있는 무증상 성인에서 심혈관 위험도 평가 척도로서 관상동맥칼슘(coronary artery calcium, CAC) 점수와 함께 경동맥 내중막 두께(intima-media thickness, IMT)를 사용할 수 있다고 권고했다(Class IIa). 

본 연구에서는 경동맥 IMT에 대한 연구 논문들에 대한 고찰을 통해, 심혈관 위험도를 예측하는 데 경동맥 IMT 측정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에 대해 평가하고, IMT에 대한 연구 방법 및 결과에 대해 분석하고자 했다.

임상연구에서 심혈관 위험 예측을 위한 경동맥 IMT의 측정
ICA-IMT 및 경동맥 bulb를 평가 대상에 포함시킬 경우, 심혈관 및 뇌졸중 위험에 대한 예측력이 상승했다. 또한 단순히 플라크의 존재 유무를 검사하는 것이 아니라 플라크 수, 두께, 플라크 면적 및 3차원적인 부피 등 정량인 측정이 동반될 때 심혈관 위험도를 더욱 민감하게 예측할 수 있었다.

경동맥 IMT와 심혈관 위험도의 관계
Kuoppio Ischaemic Heart Disease (KIHD) 연구는 경동맥 IMT와 관상동맥 사건과의 연관성을 보여준 최초의 연구다. 

연구는 IMT가 0.1 mm 증가할 때마다 심근경색 위험도는 11% 높아지는 것으로 보고했다. 경동맥 분지의 IMT를 다양한 방법으로 측정한 주요 논문들을 최초로 메타분석한 연구에서는 경동맥 IMT가 0.1 mm 증가할 때마다 심근경색 위험도는 10~15% 증가했다(Circulation. 2007;115:459-67). 

Three City 연구는 경동맥 플라크가 존재하지만, 관상동맥질환은 없는 65~85세의 노년층을 대상으로 평균 5.4년간 추적관찰했다. 다변량 분석 결과 경동맥 플라크가 한 군데 있는 경우 심장 사건 위험비(hazard ratio)는 1.5 (95% 신뢰구간 1.0-2.2), 두 군데 있는 경우 위험비는 2.2 (95% 신뢰구간 1.6-3.1)였다.

고찰
심혈관 위험 예측 인자로서 경동맥 IMT의 유용성에 대해 합의된 결론을 도출하지 못하는 원인은 관련 연구 방법이 일관적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향후 3D 초음파로 플라크의 증식 및 억제를 평가한다면, 심혈관계 치료 효과를 평가하는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경동맥 플라크 MRI의 특성: Cilostazol 장기 연구

 J Stroke Cerebrovasc Dis. 2014;23:2425-30

연구 배경
Cilostazol은 죽상경화증의 퇴행을 유도할 수 있는 항혈소판제지만, 목경동맥(cervical carotid artery)의 플라크 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장기간의 효과는 알려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cilostazol의 장기 투여에 따른 플라크의 정량적 변화를 알아보고자 했다.

연구 방법
2009년 11월~2012년 2월 연구기관을 방문한 환자 16명(남성 12 명, 여성 4명, 연령 범위 56~79세; 중앙값, 67세)을 대상으로 매일 200 mg의 cilostazol을 투여한 후 연구 6개월, 12개월 차에 T1-강조(T1-weighted) 플라크 영상을 측정했다. 

환자들은 최근 6개월간 약물적 처치에 변화가 없고 이전에 cilostazol을 투여한 경험이 없으며 경동맥 내막 절제술(carotid endarterectomy, CEA) 및 경동맥 스텐트 시술(carotid arterial stenting, CAS) 대상자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로 한정했다. 자동화 프로그램을 사용해 흉쇄유돌근(sternocleidomastoid muscle)의 명암 비(contrast ratio) 및 플라크 내 섬유화 조직, 지질/괴사, 출혈 요소 등의 백분위 면적을 측정했다. 또한 3차원 초음파 측정기를 사용해 플라크의 부피 및 에코형성도(echogenicity)를 측정했다.

연구 결과
Cilostazol 투여 기간 동안 플라크 명암비는 현저히 감소했다<그림>. 플라크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에서 기저치, 연구 6개월 차, 연구 12개월 차의 플라크 명암비는 각각 0.96~1.56 (중앙값, 1.07), 0.97~1.31 (1.04), 0.93~1.50 (1.00)이었다. 섬유질 요소는 기저치 28.6~93.0% (73.9%)에서 연구 6개월차 31.8~90.7% (80.3%), 연구 12개월 차 33.5~98.0% (85.7%)로 각각 유의하게 증가했다(p=0.03). 지질/괴사 요소는 기저치 7.0~55.7% (25.2%)에서 연구 6개월 차 9.3~51.4% (19.2%), 연구 12개월 차 0.6~37.2% (14.3%)로 유의하게 감소했다(p=0.04).

 

 

고찰
장기간 약물치료와 플라크 내의 변화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Statin 투여가 플라크의 여러 요소에 변화를 준다는 것은 MRI 분석을 통해 관찰된 바 있지만, cilostazol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연구 기간 동안 플라크 내의 섬유질 성분 부피는 유의하게 증가했지만 지질/괴사 성분은 유의하게 감소했는데, 이는 cilostazol 투여로 인해 지질/괴사 성분이 섬유질 성분으로 전환됐고, 이것이 플라크의 안정화로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정리·메디칼라이터부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