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한국 성인의 경동맥 내중막 표준 두께 및 제2형 당뇨병 환자 자료를 활용한 
대혈관 질환 위험인자의 평가

Diabetes Res Clin Pract. 2006;72:183-9

연구배경
경동맥 IMT는 허혈성 심질환, 뇌졸중, 말초동맥 폐쇄성 질환(peripheral arterial occlusive diseases, PAOD)과 같은 대혈관 질환의 예측 인자로 알려져 있다. 경동맥 내중막 두께(intima-media thickness, IMT)와 죽상경화증 간의 상관관계를 보고한 많은 연구 결과를 근거로 죽상경화증의 유무를 판단하기 위해 경동맥 IMT를 측정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지만, IMT와 대혈관 질환과의 상관관계를 보고한 연구는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강한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경동맥 IMT를 측정해 표준 두께의 범위를 정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대혈관 질환의 상대적 위험성을 평가하고자 했다.  

연구방법
2003년 3월부터 12월 사이에 건강 진단 센터에 방문한 1,229명의 건강한 피험자(여성 624명, 남성 605명), 최소 5년 동안 병원 및 클리닉을 방문한 830명의 제2형 당뇨병 환자(여성 408명, 남성 422명)를 연구 대상으로 했다.

연구결과
건강한 피험자보다 제2형 당뇨병 환자의 경동맥 IMT가 더 두껍게 측정됐다. 또한 제2형 당뇨병 환자 중에서 허혈성 심질환, 뇌졸중, PAOD와 같은 질환이 있는 경우 IMT가 더 두꺼운 것으로 확인됐다. 

남성과 여성 모두 나이가 많을수록 경동맥 IMT가 두꺼운 경향을 보였다(여성 p=0.002, 남성 p=0.004). 또한 건강한 피험자에서 여성보다는 남성의 IMT가 더 두껍게 측정됐다(남성 0.685± 0.156 mm, 여성 0.667±0.147 mm, p=0.038).

경동맥 IMT가 증가된 경우 정상 경동맥 IMT 대비 허혈성 심질환, 뇌졸중, PAOD의 상대위험도는 각각 2.34 (95% CI; 1.32-4.14), 2.95 (95% CI; 1.46-5.54), 3.64 (95% CI; 1.66-7.40)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표 1>.
 

 

결론
본 연구는 고분해능 B-모드 초음파 검사로 한국인의 평균 경동맥 IMT를 측정해 최초로 보고했으며, IMT와 심혈관 질환 위험인자의 상관관계를 연구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경동맥 IMT가 증가된 제2형 당뇨병 환자는 건강한 피험자에 비해 대혈관 질환 위험도가 2~4배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Cilostazol의 죽상경화증 퇴행 효과
DAPC 연구의 주요결과: 무작위 대조 연구

Circulation. 2010;121:2584-91

연구배경
항혈소판제는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죽상경화증의 재발을 예방하는 데 효과적이다. 하지만 aspirin과 cilostazol이 경동맥 내중막의 비후에 미치는 효과 및 유용성에 대해서는 아직 알려진 바 없다.

연구방법
Diabetic Atherosclerosis Prevention by Cilostazol (DAPC) 연구는 cilostazol과 aspirin의 죽상경화증 예방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4개 동아시아 국가에서 전향적, 무작위, 라벨공개, 맹검 연구(prospective, randomized, open-label, blinded-endpoint study)로 진행됐다. 말초동맥질환으로 의심되는 제2형 당뇨병 환자 329명을 대상으로 aspirin (81~100 mg/d) 또는 cilostazol (100~200 mg/d)을 투여했다.

연구결과
1차 유효성 평가 변수로 2년 동안의 경동맥 IMT 변화량을 측정한 결과 cilostazol은 aspirin 대비 좌우 경동맥 IMT의 비후를 억제하는 효과가 더 컸다<표 2>.
 

 

Cilostazol의 이러한 효과는 지질 수치 및 당화혈색소와 같은 교란 인자를 보정해 시행한 회귀분석에서도 유효한 것으로 확인됐다. 

결론
Cilostazol은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심혈관사건에 대해 확립된 검사 지표인 경동맥 IMT의 비후를 강력히 억제하는 효과가 aspirin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