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국가 임상시험 참여로 노하우 축적해야

국가 차원의 강력한 R&D 지원체계 급선무
과기부 정책토론회

 정부가 지난 92년 실시한 G7과제 신의약·신농약개발사업에서 현재의 유전체연구, 신약개발 연구까지 이어지는 일련의 신약개발 연구에 대한 체계화 작업에 본격 돌입한다.
 이를 위해 정부는 국가 신약개발 R&D 효율화 추진전략 논의의 장에 연구기관, 대학, 관련 업체 등이 모두 참여하도록 유도하고, 장기적인 목표에 따른 국가 차원의 신약개발 R&D 추진을 위한 전략 과제를 실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최근 과학기술부 주최로 열린 `신약개발 R&D 효율화를 위한 현안 및 추진전략` 정책 토론회에서 관계부처 실무자 및 산·학·연 관계자들은 이같이 의견을 모았으며, 과학기술부 생명해양심의관실이 지난 2년간 실시한 국내 신약개발 현황 조사 자료를 토대로 중점 추진 전략과제를 선정하기로 했다.
 이날 `신약개발 R&D 효율화를 위한 현안 및 추진전략`을 발표한 과기부 생명해양심의관실 한성구 서기관은 지난 2년여의 산·학·연 신약개발 현황과 정부의 신약개발 R&D지원 현황을 조사한 결과 임상분야에 대한 지원 및 투자 미비, 전문 인력 및 인프라 부족, 정부 지원시 적용분야별 부처지원 특성 미약 등의 한계점이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한 서기관은 따라서 부처특성 및 역량을 고려해 신약개발 단계별 관련부처의 역할 재조정과 기능 강화가 필요하며, 국가 신약개발 R&D 추진을 위해 `부처간 역할분담 및 조정`, `신약개발 R&D 사업구조 단순화`, `산·학·연 협력체계 구축`, `국가 신약개발전략 위원회 구성` 등의 4대 전략을 제시했다.
 이와 관련 토론자로 참석한 서울의대 장인진 교수는 "현재 신약개발 관련 국내 임상수준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평가가 필요하다"며 "제도적인 뒷받침을 통해 외국 제약회사의 다국가 3상 임상시험에 참여 국제수준의 다국가 임상시험의 노하우를 축적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국화학연구원 김성수 센터장은 신약의 범위와 단계별 목표를 국가차원에서 보다 세분화 할 필요가 있다며, 신약개발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신약개발촉진법 제정보다 강력한 지원체계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에 대해 국무조정실 류호영 국장은 오늘 제출된 안과 토론회에 제시된 의견을 최대한 수렴해 의료산업선진화위원회와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에 적극 반영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