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수한·박동화 교수팀, '두개골 전체 봉합선 경유 신연수술' World Neurosurgery 게재

▲ 아주대병원 신경외과 윤수한 교수

국내 연구팀이 션트수술 후 발생하는 가는뇌실증후군이나 유합증, 특히 뇌압 상승이나 소두증을 동반하는 합병증에서 '두개골 전체 봉합선 경유 신연수술(TC-TSuDO: Total Calvarial Trans-sutural Distraction Osteogenesis)'이 비교적 간단하면서 안전하고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가 발표했다.

션트수술은 환자의 뇌척수액 통로에 션트(shunt)라는 유연한 튜브를 집어넣어 뇌척수액을 복강 등 신체의 다른 부위에서 흡수되도록 만들어 주는 수술로, 증가한 두개강 내압을 낮추는데 효과적인 방법이다. 

그런데 소아는 성장을 하기 때문에 션트수술 후에 뇌와 머리뼈의 성장 차이로 인해 수술 환자의 10~30% 정도에서 가는뇌실증후군이나 유합증, 그리고 소두증과 같은 후유증이 발생한다. 이때 치료를 위해 션트 밸브의 압력을 높이거나 척추션트를 추가하거나 두개골확장술을 시행해야 한다.

아주대병원 신경외과 윤수한 교수와 성형외과 박동하 교수팀이 션트수술 후에 가는뇌실증후군이나 유합증 그리고 소두증이 발생해 '두개골 전체 봉합선 경유 신연수술'을 받은 26명의 환아에 대해 머리둘레, 요추천자뇌압, 발달지수, 수술요인, 수술 후 합병증을 조사했다. 

연구팀이 조사한 결과 2004~2012년까지 아주대병원에서 션트수술을 한 환아 254명 중 두개골 전체 봉합선 경유 신연수술을 받은 환아는 26명이었다. 26명 중 14명은 션트 후 가는뇌실증후군, 4명은 션트 후 유합증, 8명은 가는뇌실증후군과 유합증이 동시에 있었으며, 소두증은 15명에서 있었다. 

션트수술을 받을 당시 평균 연령은 평균 8.2개월이었고, 션트수술 후 두개골 전체 봉합선 경유 신연수술을 받을 때까지 평균기간은 26.8개월이었다. 두개골 전체 봉합선 경유 신연수술을 받을 때 환아의 평균연령은 33.3개월이었다. 연구팀은 환아 26명의 머리둘레, 요추천자뇌압, 발달지수, 수술요인, 수술 후 합병증을 조사했다.

그 결과 평균 수술 전 머리둘레가 표준편차 -2.1이었는데 수술 후에는 -1.4로 상승했다. 평균 수술 전 요추 천자 뇌압은 26.2cmH2O였는데 수술 후에는 11.9cmH2O로 감소했다. 

▲ 장 왼쪽이 전두부 봉합선경유신연수술방법이며, 왼쪽에서 두 번째가 중심부 봉합선경유신연수술방법이고, 왼쪽에서 세 번째가 후두부 봉합선경유신연수술방법이며, 가장 오른쪽이 좌측 세가지 방법을 모두 합쳐서 한꺼번에 시술하여 머리뼈 전체가 확장될 수 있도록 한 두개골전체봉합선경유신연수술방법이다.

평균 수술시간은 138분으로 기존의 단순 두개골 절제술에 비해 평균 5시간 정도 짧았고, 평균 중환자실 체류기간은 0.27일로 단순 두개골 절제술에 비해 평균 2~4일이 짧았다. 수술 후 사망은 없었으나 2명의 환아에서 신연기 고장이 있었고, 1명의 환아에서 상처감염이 있었다.

윤수한 교수는 "연구팀은 션트 후 유합증이 있는 환아에서 머리뼈의 일부를 신연방법으로 치료한 결과를 2006년에 세계에서 처음 보고했고, 신연수술의 적용 대상을 확대해 션트 후 소두증과 가는뇌실증후군에서도 적용하되 신연방법의 범위를 머리뼈 전체로 확장해 세계 최초로 보고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션트수술 후 발생하는 가는뇌실증후군이나 유합증 같은 합병증에서, 특히 뇌압상승이나 소두증을 동반하는 경우에는 두개골 전체 봉합선 경유 신연수술이 기존수술보다 더 간단하면서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라는 사실을 입증한 것"이라며 "이 수술법은 전체 두개골을 동시에 신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수술이 간단하고, 모양도 기존 방법보다 좋으면서도 재수술도 가능하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이번 연구는 'World Neurosurgery' 2016년 10월 3일에 온라인 가판으로 실렸으며, 2017년에 정식 출판 예정이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