긍정적 평가…"당뇨병 환자 니즈 충분히 채웠다"

지금 대한민국은 GLP-1 수용체의 춘추전국시대를 맞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최근까지 GLP-1 수용체를 포함한 인크레틴 기반 약제 개발이 궤도에 오르면서 혈당 및 체중조절, 베타세포 보존 측면에서 좋은 성과를 보여준 것도 한몫했다.

제2형 당뇨병 환자가 조기에 단기간 강화 인슐린 치료를 할 경우, 장기간의 혈당 조절에 유리하다고 알려졌지만, 인슐린 치료에 대한 거부감은 그만큼 높다. 당뇨병 환자들이 주사 치료제의 잦은 투여와 투여시간 준수로 인한 번거로움이 먼저 개선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은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과연 GLP-1 수용체가 인슐린 치료에 대한 거부감이 높은 당뇨병 환자의 '실버 라이닝(Silver lining)'이 될 수 있을까?

신년을 맞아 GLP-1 수용체만을 연구한 대표 논문들을 종합 분석해, 임상적 효능 및 안전성을 A to Z 형식으로 점검해보고, 국내 도입에 따른 기대와 우려를 전문가들에게 들어봤다

<신년기획-상>GLP-1 수용체 '당뇨병 치료 니즈 채웠다'
<신년기획-하>GLP-1 수용체. 국내 도입…전문가 점수는?

둘라글루타이드, 지속적 혈당 강하·안전성 우수
Dulaglutide

 

현재 국내 시판 허가된 장기지속형 주사제로는 △둘라글루타이드와 △알비글루타이드가 있다. 
그렇다면, 두 제제가 기존 GLP-1 수용체 대비 주사 투여 횟수를 줄인 만큼 혈당 및 체중감소 효과에 우수성을 담보할 수 있을까?

둘라글루타이드는 제2형 당뇨병 환자의 단독요법부터 병용요법까지 지속적인 혈당 강하 효과 및 안전성을 입증한 연구결과들을 그 근거로 내세웠다.

아시아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 결과에서 둘라글루타이드 0.75㎎, 1.5㎎ 투여군 모두 인슐린 글라진 대비 A1C 감소 효과, 저혈당 위험 감소, 체중감소 효과를 보였다. 또 제3상 임상시험에서 둘라글루타이드 1.5㎎ 투여군은 1차 시점부터 최종 시점까지 체중감소가 지속됐다. 평균 체중 변화는 베이스라인 대비 최소 -0.87㎏ 최대 -3.03㎏을 보인 것.

둘라글루타이드와 인슐린 글라진 병용요법 혜택도 지난해 6월 미국당뇨병학회(ADA) 연례학술대회에서 입증됐다. 공개된 결과를 보면 28주 시점에서 A1C 수치는 둘라글루타이드 1.5㎎+인슐린 글라진 병용군이 1.44% 감소했지만, 위약과 인슐린 글라진 병용군은 0.67%, 둘라글루타이드 병용군에서는 0.77% 더 감소했다.

목표 혈당 수치인 7.0% 미만(A1C<7.0%)에 도달한 환자 비율은 둘라글루타이드 투여군 69.3% 대비 위약군 35.1%로 둘라글루타이드 투여군에서 더 많았다. 공복 혈당(FSG)의 변화 역시 둘라글루타이드 투여군은 44.63㎎/dL 감소했지만, 위약 투여군은 27.90㎎/dL 감소해 둘라글루타이드 투여군에서 더 큰 감소세를 보였다.

체중 변화에서도 둘라글루타이드 투여군은 1.91㎏ 감소했지만, 위약 투여군은 0.50㎏ 증가했다. 저혈당증 발생률은 둘라글루타이드군(7.69건/환자/년)과 위약군(8.56건/환자/년)에서 유사했고, 중증 저혈당성 이상 반응은 둘라글루타이드군에서 1건이 발생했다.

알비글루타이드, 인슐린 병용 유일하게 인정된 LAI
Albiglutide

알비글루타이드 역시 주 1회 투여 방식인 장기지속형 GLP-1 수용체지만 둘라글루타이드와 다른점은 인슐린 병용요법이 인정됐다는 점이다.

알비글루타이드의 혈당 강하 효과 및 체중감소 효과를 입증한 대표 연구인 HARMONY 연구 프로그램을 보면 쉽게 알 수 있다.

임상시험 8개로 구성된 HARMONY 연구 프로그램에는 제2형 당뇨병 환자 5000여 명을 대상으로 알비글루타이드와 인슐린을 포함한 다른 계열 제2형 당뇨병 치료제를 비교·평가했고, 혈당 강하 효과 및 내인성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HARMONY 연구결과 가운데 눈에 띄는 결과들만 정리하면, HARMONY 1은 피오글리타존으로 혈당조절이 되지 않은 제2형 당뇨병 환자 199명을 대상으로 알비글루타이드군 A1C가 0.81% 감소해, 0.05% 감소한 위약군보다 0.76% 더 낮은 결과를 보여주며 연구 첫 시작에 청신호를 켰다.

혈당감소 효과는 2013년 ADA에서 발표된 HARMONY 4 결과에서도 나타났다. 메트포르민 기반 치료를 받는 환자 745명에서 무작위로 분류된 알비글루타이드군과 인슐린 글라진군에서 각각 0.7%, 0.8%로 두 군 간 차이가 0.11%로 비열등성을 만족했기 때문이다.

또 인슐린 글라진군에서 체중이 1.6㎏ 증가했지만 알비글루타이드군에서는 1.1㎏ 감소해, 체중감소 변화 면에서도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그 다음 해 공개된 HARMONY 5(메트포르민과 글리메피라이드로 치료를 받는 657명 대상)에서는 알비글루타이드군이 위약 대비 A1C가 유의미하게 개선됐지만(-0.9%; P<0.05), 피오글리타존과는 비열등성을 입증하지 못했다. 단 체중은 알비글루타이드군과 위약군 모두 0.4㎏ 감소했고, 피오글리타존군은 오히려 4.4㎏ 증가했다.

마지막으로, HARMONY 8은 신기능 장애를 동반한 환자 300명을 대상으로 알비글루타이드와 시타글립틴 효능을 비교·분석했는데, 26주째 베이스라인 대비 A1C 변화는 알비글루타이드군은 0.83%, 시타글립틴군은 0.52%로 알비글루타이드가 0.31% 더 낮췄고, 혈당 강하 면에서 알비글루타이드가 우위를 점하며 연구를 마무리 지었다.
 

 

긍정적 평가…"당뇨병 환자 니즈 충분히 채웠다"

단기작용에서 한 단계 업그레이드된 장기지속형 GLP-1 수용체의 국내 도입을 본 전문가들은 대체로 긍정적이다.

서울의대 최성희 교수(분당서울대병원 내분비내과)는 "많은 환자가 하루에 여러 번 맞는 주사 치료를 힘들어 했다는 점에서 효과가 우수하면서 편의성을 개선한 주 1회 GLP-1 수용체 등장은 주사 치료에 대한 부담을 덜어줘 적극적인 혈당 관리를 가능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한국인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GLP-1 수용체를 이용한 약물치료가 타 약제 대비 더 효과적으로 처방될 수 있다는 언급도 나왔다. 한국인 환자는 백인 등과 비교했을 때 인슐린 저항성은 적고 인슐린 분비능 장애는 더 큰 경향을 보인다는 것이다.

김병준 교수는 "몇몇 연구결과를 보면 한국인을 포함한 아시아인은 인크레틴 수용체 치료의 혈당강하 효과가 백인과 다르지 않다"면서 "하지만 주된 병리 형태를 들여다보면, 체중증가로 인한 인슐린 저항성 증가보다, 증가된 당질의 소비로 인한 인슐린 분비능 저하가 가장 큰 원인이기 때문에 GLP-1 수용체가 좀 더 당뇨병 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한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