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 일자리 잃어…방문 재활치료 요구 목소리 높아

▲ 상지재활 치료를 받는 모습(사진제공: 국립교통재활병원)국내 사망 원인 중 단일질환 1위가 바로 '뇌졸중'이다. 그런데 최근 뇌졸중 유병률은 늘고 있지만 사망률은 점차 줄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낮은 사망률만 본다면 희소식이지만, 한편으로 '후유장애'를 겪는 생존자들이 늘고 있다는 의미다.후유장애를 겪는 환자들은 장애로 인한 문제, 사회로부터 격리 등의 큰 짐을 짊어진다. 때문에 이들의 신체적·정신적·사회적 능력을 최대한 발달시켜 독립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는 '재활치료'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이에 국내 뇌졸중 재활치료 현황과 함께 효과를 살펴보고, 재활치료 후 필요한 사회적 관심은 무엇인지 짚어봤다.<기획-상> 뇌졸중 그 후…집중 재활치료가 삶의 질 가른다<기획-하> "재활치료 끝났는데…" 사회적 관리체계는 갈 길 멀다

재활치료 성공해도 10명 중 4명 일자리 잃어

큰 인내와 노력 끝에 재활치료를 마친 환자들은 사회로 돌아간다. 하지만 사회에서 이들을 포용하는 제도적 장치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KOSCO 연구 중간결과에 따르면, 재활치료를 받은 초발 뇌졸중 환자에서 10명 중 4명이 직업을 잃었다(J Rehabil Med. 2016;48(3):273-279.). 이들은 질환 발병 6개월 시점에 기능적으로 독립성이 있고 인지기능이 정상이며 이동기능에도 문제가 없었지만, 다시 일자리를 구하기는 쉽지 않았다.

구체적으로 뇌졸중 발병 전 직업이 있었고 재활치료 6개월 후 신체 및 인지기능이 정상이 된 환자 933명 중 직업을 구한 환자는 560명이었다. 약 40%가 일자리로 돌아가지 못한 것. 

이러한 차이는 연령과 성별에 따라 극명하게 갈렸다. 65세 미만 남성은 70.2%가 일자리로 돌아갔지만, 65세 이상 남성은 46.4%만이 직업을 구했다. 65세 미만 또는 65세 이상 여성에서는 48.3%와 45.2%만 일자리를 구할 수 있었다.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 수치다.

복귀율이 가장 높았던 직업은 농·임·어업(66.4%)이었고, 전문직(62.4%), 정부 고위층(60%)이 뒤를 이었다. 반면 군인의 복귀율은 34.6%로 가장 낮았다. 

성균관의대 김연희 교수(삼성서울병원 재활의학과)는 "사회적으로 고용주들의 뇌졸중 환자에 대한 인식이 변화해야 하고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정부 정책이 필요하다"며 "병원이나 재활기관에서도 직업전 훈련(prevocational training)과 같은 실제적인 재활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면서, 재활전문가들이 협력해 일하는 구조가 이뤄져야 한다"고 제언했다.

뇌졸중 장애인 수용하는 '지역사회 관리체계' 필요

이와 함께 재활치료 후 신체기능이 회복되지 않아 제도적으로 장애인이 된 환자에게도 사회에서 꾸준히 보건의료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국립재활원 김완호 과장(뇌신경재활과)은 "전체 장애인 중 약 10%는 뇌졸중이 원인으로 장애인 판정을 받는데, 단일 원인으로는 가장 많다"면서 "뇌졸중 장애인에 대한 보건의료 정책이 마련되고 건강한 삶이 보장된다면 다른 장애인들의 삶에도 지대한 영향을 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뇌졸중으로 인한 장애는 지역사회 환경과도 유기적인 관련이 있다"며 "환자들이 지역사회로 돌아갔을 때 이를 수용하는 관리체계가 마련돼야 한다"고 피력했다.

그는 '지역사회 중심 재활' 이른바 'CBR(Community Based Rehabilitation)'이 이뤄져야 한다고 제안했다. 지역사회에서 뇌졸중 장애인들을 관리하는 체계가 없다면 초기 집중 재활치료에 따른 효과가 이어지지 않기 때문에, 지역사회가 여기에 대응할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 과장은 "지역사회에서는 자가관리 교육, 맞춤형 재활운동 등으로 건강관리를 하는 자조그룹(self management skill)을 구성할 수 있는 자원을 지원해야 한다"면서 "자조그룹에 있는 뇌졸중 장애인들이 일주일에 2~3회 의사들을 만나 이야기 나누고 교육을 받는다면 심리적 지지가 될 뿐만 아니라 개인과 의사 간 상당한 상호작용이 이뤄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그는 최선의 건강상태를 유지할 권리와 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 받는 건강권 역시 보장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그는 뇌졸중 장애인에서 '방문진료'에 대한 니즈가 크다고 설명했다.

2014년 장애인 실태조사에 따르면, 뇌졸중 장애인들이 향후 강화해야 할 보건의료 서비스로 '재활전문병원'에 이어 '방문재활치료'를 꼽았다. 장애인 건강수준 향상을 위해 사회에서 강화해야 할 부분에는 3명 중 1명이 '방문보건'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김 과장은 "중증 장애인의 대부분이 뇌졸중 장애인이다. 43%가 건강검진을 잘 받지 못하고 있는데, 교통이 불편하거나 편의시설이 부족해서라고 답한다"며 "뇌졸중을 진료하는 의사들은 이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 앞으로 어떤 형태로 나아가야 할지에 대해 논의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