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라글루타이드 LEADER, 세마글루타이드 SUSTAIN-6 공개

GLP-1 수용체 작용제는 혈당조절 외에도 탁월한 체중감소 효과에 더해 혈압, 지질 등에서 효과를 보이며 부가적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GLP-1 수용체 작용제의 부가적 혜택 가운데 가장 눈에 띄는 강점은 체중조절 효과다. 일련의 연구에서 3~4kg의 체중감소가 관찰된다. 리라글루타이드는 이러한 다면발현효과를 응용해 비만 치료제로도 개발돼 승인받은 바 있다. 혈압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개선효과를 보이며, 중성지방 개선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난다. ADA 가이드라인도 GLP-1 수용체 작용제의 심혈관 위험인자 개선혜택을 인정하고 있다.

최근에는 GLP-1 수용체 작용제 대상의 임상연구에서 혈당조절에 이은 심혈관질환 예방효과가 연이어 보고돼 해당 계열 약제가 새롭게 조명을 받고 있다. 리라글루타이드를 검증한 LEADER 연구와 세마글루타이드를 대상으로 한 SUSTAIN-6 연구가 대표적이다.

LEADER, 리라글루타이드
LEADER 연구는 올해 미국당뇨병학회(ADA) 연례학술대회에서 처음으로 선을 보였다. 이어 NEJM 2016;375:311-322에도 게재되는 등 큰 관심을 끌었다. 이 연구에서 리라글루타이드는 위약 대비 심혈관 사망, 비치명적 심근경색증, 비치명적 뇌졸중 복합빈도(3P-MACE)를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연구팀은 심혈관 위험인자를 동반한 심혈관질환 고위험군 제2형 당뇨병 환자 9340명을 리라글루타이드 1.8mg군 또는 위약군으로 무작위 배정해 3.5~5년 동안 추적관찰했다. 1차 종료점인 3P-MACE는 리라글루타이드군 4668명 중 608명(13%)에서 발생한 반면 위약군은 4672명 중 694명(14.9%)으로 리라글루타이드군의 상대위험도가 13% 낮았다(hazard ratio 0.87, P=0.01). 세부분석에서 심혈관 사망은 리라글루타이드군 4.7% 대 위약군 6.0%로 리라글루타이드군이 22% 낮은 수치를 보였다(P=0.007). 비치명적 심근경색증 위험은 22%(P=0.11), 비치명적 뇌졸중 위험도는 11%(P=0.30) 낮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치는 아니였다.

추가적으로 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에서도 리라글루타이드군 381명(8.2%), 위약군은 447명(9.6%)으로 리라글루타이드군의 상대위험도가 15% 낮았다(hazard ratio 0.85, P=0.02). 심부전 입원율 역시 리라글루타이드군에서 13% 낮았다(P=0.14).

리라글루타이드군 대부분의 A1C가 개선됐다는 점도 눈여겨 볼 부분이다. 평균 36개월간 추적·관찰한 결과 리라글루타이군의 A1C가 약 0.40%, 체중은 2.3kg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다. 또 수축기혈압은 위약군 대비 12mmHg 감소, 이완기혈압은 0.6mmHg 증가했다.

한편 리라글루타이드의 유해사건으로는 심장박동수 증가, 담석증이 보고됐다. 특히 담석증 발병률은 리라글루타이드군 3.1%, 위약군 1.9%로 격차를 보였다. 하지만 연구팀은 담석증을 비롯한 모든 부작용을 검토해봤을 때 양 군에서 큰 차이가 없었다고 부연했다.

SUSTAIN-6
최근 유럽당뇨병학회(EASD)에서 모습을 드러낸 GLP-1 수용체 작용제 세마글루타이드는 SUSTAIN-6라는 심혈관 아웃컴 임상연구를 들고 첫인사를 했다. SUSTAIN-6 연구는 3297명의 제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주1회 제제인 세마글루타이드와 위약 간 안전성을 비교한 연구다. 50세 이상 연령대로 심혈관질환(심혈관, 뇌혈관, 말초혈관 질환, 만성 심부전 II-III, 만성 신부전 3단계 이상)이 있거나 또는 60세 이상이면서 잠재적(subclinical) 심혈관질환이 확인된 그룹이 포함됐다.

92% 환자가 고혈압이 있었고, 60%는 허혈성 심질환, 32%는 심근경색증, 23% 심부전, 11% 뇌졸중을 동반하고 있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심뇌혈관 약물을 복용하고 있는 고위험군이었다. 환자들의 평균연령은 64세였으며, BMI는 92kg/㎡, 당뇨병 유병기간은 14년, A1C는 8.7%였다.
이들을 무작위로 나눠 세마글루타이드(0.5mg 또는 1.0mg) 또는 같은 주사형태의 위약(0.5mg 또는 1.0mg)을 투여하고 104주 후 1차 종료점으로 정의한 복합 심혈관질환 발생률(심혈관 사망, 비치명적 심근경색증 또는 비치명적 뇌졸중)을 관찰했다.

그 결과, 세마글루타이드가 위약 대비 심혈관사건 발생률을 26%가량 더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복합 심혈관질환 발생률이 위약군은 8.9%로 나타난 반면 세마글루타이드군은 6.6%로 기록되면서 비열등성은 물론 우월성 기준까지 충족시켰다(hazard ratio 0.74, P<0.001). 아울러 심혈관 사망, 비치명적 심근경색증, 비치명적 뇌졸중, 재관류술, 불안정형 협심증, 심부전 등을 포함한 보다 확장된 복합 심혈관질환 발생률도 상대위험도가 26% 줄었다(12.1% vs 16.0%, hazard ratio 0.74, P=0.002). 각각의 항목에서는 비치명적 뇌졸중 발생이 세마글루타이드군에서 위약 대비 39% 감소했으며(1.6% vs. 2.7%, hazard ratio 0.61, P=0.04), 재관류술 또한 상대적으로 위험을 35%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5.0% vs. 7.6%, hazard ratio 0.65, P=0.003).

1차 종료점 결과를 발표한 미국 캔사스시티 의학연구센터의 Steven P. Marso 박사는 “심혈관 안전성 입증을 넘어 심혈관질환 개선이라는 효과가 나타났다”면서 “이번 연구를 계기로 당뇨병 치료제의 심혈관 예방 적응증 확대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평가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