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세훈 교수팀…면역항암제 동반진단 혹은 보조진단법 개발

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 이세훈 교수팀이 명역항암제 치료반응 모델 개발에 본격 나설 전망이다.

▲ 혈약종양내과 이세훈 교수

삼성서울병원이 산업통상자원부(산업부)와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이 지원하는 포스트게놈다부처유전체사업의 '면역항암제 치료반응 유전체-임상정보 통합 DB기반 사업화 모델 개발' 과제 주관기관으로 최종 선정됐기 때문이다.

이에 이세훈 교수는 연구총괄책임을 맡아 향후 5년간 50여 억원을 들여 면역항암제 치료반응 유전체-임상정보 통합 DB기반 사업화 모델 개발에 나서게 된다.

면역항암제는 이론적으로 부작용이 적고 면역체계의 기억기능으로 효과가 장기간 지속될 수 있다는 점에서 관심을 받아왔다. 하지만 치료효과를 장담하기 어렵고 부작용 발생에 대한 우려도 적지 않은 점 등이 한계로 지목돼 지금까지 주류 치료법으로 자리 잡지 못했다.

국내에서는 현재 비소세포폐암과 흑색종을 적응증으로 면역항암제가 출시돼 환자치료에 쓰이고 있다.

다만 비소세포폐암의 경우 20 ~ 30% 환자만이 면역항암제(PD-1치료제)에 반응을 보이고, 전체 환자의 10 ~ 15%는 치료가 필요함에도 예측모델에서 벗어나 있는 탓에 치료기회를 얻지 못하는 등 한계가 지적돼 왔다.

이 교수팀은 이번 과제 선정을 계기로 면역항암제에서 동반진단 혹은 보조진단법 개발을 통해 치료효율을 높이고, PD-1치료제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군의 면역활성화를 통해 직접 항암효과를 유도하거나 혹은 PD-1치료제에 반응하는 방법을 찾기 위한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또한 면역항암제 치료를 받는 폐암환자의 유전체데이터를 생산하고, 임상-유전체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유전자 발현기반의 치료예측 혹은 신규 암 항원 기반의 치료예측 알고리즘 개발도 병행된다.

뿐만 아니라 이번 연구에서는 임상-유전체 분석기반의 면역항암제 치료예측 진단패널 개발과 폐암 DNA백신 항암제와 자연살해세포치료제의 연구가 포함돼 환자들의 치료 가능성을 높이는 데도 보탬이 될 것으로 연구팀은 기대했다.

이 교수는 "면역항암제는 새로운 치료법을 기다리는 환자들에게 희망이 될 수 있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면역항암제의 가능성을 구체화하여 환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