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40년 이후 200만명 넘어설 듯…지역사회 중심 관리전략 구축

고령화에 따른 치매환자의 증가는 노인문제의 핵심이다. 통계청 장래인구추계에서는 65세 이상 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75세 이상은 물론 85세 이상 인구도 끊임없이 증가하는 흐름이다. 2015년 기준 노인인구 비율은 13.1%로 집계됐는데 2030년에는 24.3%, 2050년에는 37.4%로 증가할 전망이다. 특히 75세 이상 인구는 5.5%에서 9.7%, 22.1%로 85세 인구도 1.1%에서 2.5%, 7.7%로 각각 전망됐다.

치매 유병률 증가
치매 유병률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보건복지부의 2012년 치매 유병률 조사에서는 국내 65세 이상 인구 61만명이 치매환자로 나타났다. 이후 17년마다 2배씩 증가해 2024년에는 100만명, 2041년에는 200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발생률로 평가하면 2014년 9.58%에서 2024년 12.26%, 2041년 12.26%, 2050년 15.06%로 증가하는 셈이다. 또 치매가 호발하는 연령대도 85세 이상으로 유럽과 비슷한 경향이다. 65~69세의 치매 발생률이 1.3~3.6%인데 비해 85세 이상에서는 30.5~33.2%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알츠하이머병기구는 2013년 세계 치매환자 수가 4400만명, 2030년에는 7600만명, 2050년에는 1억 3500만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한 바 있다.

 

사회경제적 부담관리 필요
노인인구, 나아가서 치매환자의 증가는 사회경제적 부담으로 이어지는 가운데 국가도 발빠르게 대처하고 있다. 2014년 치매환자는 44만 3000명 이상으로 집계됐고 연평균 19.7%씩 증가하는 추세다. 이에 따른 진료비는 1조 6142억원으로 집계됐다. 진료비도 가파르게 증가해 연평균 30.7%씩 증가할 전망이다. 게다가 장기요양서비스에서도 치매환자 비율이 54.3%에서 연평균 10%씩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통합적으로 2013년 치매로 인한 사회적 비용(의료비, 약제비, 간병비, 교통비, 보조용품구입비, 간접비 등)을 추산한 결과 11조 7000억원으로 나타났는데 이런 추세로 진행될 경우 2050년에는 43조 2000억원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치매관리종합계획
보건복지부는 치매의 조기검진, 지속적인 치료 및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5년 단위의 치매관리종합계획을 시행하고 있다. 올해부터 2020년까지는 제3차 기간으로 수요자 관점에서 구성됐다는 점이 특징이다. 제3차 계획은 ▲지역사회 중심의 치매예방 관리 ▲편안하고 안전한 치매환자 진단, 치료, 돌봄 ▲치매환자 가족의 부양부담 경감 ▲연구, 통계, 기술을 통한 지원으로 구성돼 있다. 즉 지역사회 중심으로 더 넓은 범위의 환자들을 관리하면서 국내 치매 환자관리에 대한 근거를 쌓겠다는 것이다.

지역사회 중심의 치매예방관리는 ‘일반인 → 고령자 → 고위험군(독거노인, 인지기능 저하 등)’에 대한 내용이다. 전국민 대상 치매예방 실천지원(치매발병위험 사전관리, 치매예방실천지수 개발 및 확산, 인지훈련 컨텐츠 개발 및 확산), 치매에 대한 부정적 인식개선 및 치매친화적 환경 조성(치매안심마을, 치매극복의 날)이 세부과제로 포함돼 있다.

 

특히 치매상담센터 중심의 치매 3대 고위험군에 대한 관리 및 조기발견을 지원한다. 치매 3대 고위험군은 경도인지장애, 치매치료중단 환자, 75세 이상이다. 제2차 계획을 통한 보건소 조기검진사업으로 2014년 치매선별검진율은 15.9%로 나타나 유의한 성과를 보였다. 하지만 확진자는 2.1%에 불과해 치매 고위험군의 관리를 강화토록 한 것이다. 치매 관련 인지도 개선 역시 이와 같은 맥락에서 진행된다.

편안하고 안전한 치매환자 진단·치료·돌봄은 ‘경증 치매 → 중등증 치매 →  중증 치매 → 생애말기 치매’에 대한 부분이다. 치매치료에서 치매정밀검진항목의 급여화, 치매가족 상담수가 신설, 치매전문병동 시범운영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비급여항목이었던 신경인지검사, CERAD-K, SNSB 등 검사들이 급여로 전환됐고, 치매가족상담수가는 2017년부터 도입할 계획이다.

또 경증치매 돌봄에서는 장기요양 5등급 개선, 치매노인 가정생활 안전지침 개발, 치매노인 실종방지 지원을 시행하게 된다. 양적인 관리범위를 확충한다는 것으로 장기요양서비스와 공조해 경증치매 대상 인지활동형 프로그램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중증치매의 재가 및 시설돌봄을 위해서는 24시간 단기 방문요양서비스, 요양시설 및 주야간보호센터 내 치매유닛 운영 등을 추가했다. 중증 및 생애말기 지원 부분에서는 저소득 독거 치매노인 공공후견제도의 도입을 검토 중이다. 치매환자 가족의 부양부담을 경감하기 위해서는 치매가족의 상담, 교육, 자조모임 등을 지원하고 심리검사 및 상담지원, 여행 및 여가기회를 확대하는 방향을 진행한다.

이와 함께 치매 연구, 통계연보 발간 등  역량을 강화하고, 치매 관련 현황 및 연구결과 등을 통합적으로 묶어 근거 기반 치매관리정책을 수립한다는 계획이다. 제2차 관리계획을 통해서 치매예측 뇌지도 구축 등 치매조기진단사업, 치매극복연구 및 뇌영상 선도센터, 치매예방·진단·치료기술 개발, 뇌영상 및 바이오마커 자료 수입·분석기술 표준화 등이 진행되고 있지만 연구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컨드롤타워가 없어 이를 공유하고 활용하는데 부족한 부분이 있었다. 또 치매관리 및 돌봄지원 기술의 개발과 상용화에도 무게를 두고 진행할 계획이다.

                                                             

치매 조기치료의 혜택

 

보건복지부 중앙치매센터는 치매가이드북을 통해 치매 조기발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치매는 다양한 원인을 통해 발생하지만 100명 중 5~10명은 뇌종양, 중증 우울증, 갑상선질환, 약물부작용, 영양문제 등이 원인이기 때문에 조기에 발견해 치료하면 회복할 수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또 치매의 진행을 늦출 수 있는 약물치료는 빨리 시작할수록 효과가 좋고 고혈압, 당뇨병 등은 체계적인 관리전략으로 삶의 질도 유지할 수 있다. 여기에 더해 지속치료에도 무게를 두고 있다. 아직 완치 가능한 치료제가 없는 상황에서 지속적인 치료가 치매 환자의 독립성을 유지시킴과 동시에 치매치료에 소요되는 경제적 부담도 경감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