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응급의료학술대회 열려... 병원 전단계 응급의료 발전 논의

▲ 제4차 아시아응급의료학술대회가 24~26일 서울에서 개최됐다.

아시아 각국의 응급의료 수준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아시아응급의료학술대회(The 4th Asian EMS Conference)가 서울에서 열렸다. 

24~26일 3일 동안 열린 이번 학술대회의 주제는 '아시아 국제협력을 통한 병원 전단계 응급의료의 발전'으로 세계적인 연구자들이 참여해 학술대회를 풍성하게 했다. 

특히 미국 예일의대 응급의학과 교수이면서 전 미국 EMS의사협회장 등을 역임한 David Cone 교수를 비롯한 미국 알리바마의대 응급의학과 교수이면서 ROC 공동연구 책임자인 Henry Wang 교수, 유럽 심페소생협의회 이사면서 덴마크 코펜하겐의대 Freddy Lippert 교수 등 응급의학의 세계적인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 아시아응급의료학술대회에 미국 Henry Wang 교수 등 세계적인 전문가들이 참석해 눈길을 끌었다.

26일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외국 교수들은 심정지 생존율을 높이려면 지역사회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Lippert 교수는 "덴마크에서 지난 10난 동안 생존율을 높이려고 가리지 않고 해 왔다"며 "결론은 공동체 있는 사람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일반인들이 흉부압박 정도라도 한다면 생존율을 크게 높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Wang 교수도 지역 커뮤니티의 역할이 크다고 가세했다.

그는 "미국은 평균 심정지 환자의 소생율이 약 8%다. 그런데 지역에 따라 격차가 크다. 워싱턴 등이 높고 지역으로 갈수록 떨어진다"며 "격차를 줄이려면 커뮤니티의 참여가 필수적이다. 병원으로 후송되기 전 전처치가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 아시아응급의료학술대회 조직위원장인 신상도 교수가 병원 전단계 처치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응급의학에서 심폐소생술 생존율 향상은 우리나라에서도 해결해야 할 숙제로 남아있다. 

이번 대회 조직위원장인 서울의대 신상도 교수(서울대병원 응급의학과)는 2006년 1.8%였던 생존율이 2015년에는 5%까지 상승했지만 여전히 풀어야 할 것이 많다고 했다. 

신 조직위원장은 "10년 사이 서울 등 대도시는 많이 올랐지만 미국이나 유럽 등 선진국에 비해 여전히 낮다"며 "지방 등 취약지역은 더 열악하다"고 토로했다.  

자동제세동기를 직접 사용하는 비율을 높혀야 한다는 얘기도 했다. 

신 조직위원장은 "심정지 환자에게 자동제세동기를 사용하면 약 70%가 정상으로 회복한다는 통계가 있지만 안타깝게도 사용 비율이 0.6% 밖에 안 된다"며 "국민에게 더 많이 교육해 환자에게 생존의 기회를 높혀야 한다"고 발표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