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류 증상 비슷해 오인하는 경우 많아

위식도역류질환 환자수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가슴 쓰림, 역류, 목의 이물감, 목통증 등의 증상이 있으면 대부분 ‘역류성식도염’으로 생각하고 약을 복용하지만 증상 호전이 안 되는 경우 ‘식도이완불능증’을 의심해 봐야할 것으로 보인다.

부산에 사는 윤모씨(남․32세)는 3년 전부터 음식물을 삼키면 잘 넘어가지 않고 가슴에 걸리는 답답한 느낌이 들고 음식물이 입안까지 역류되는 증상이 있어 역류성식도염으로 생각하고 약을 복용해 왔지만 효과가 없었다.

그러던 중에 수술을 하면 역류성식도염이 완치된다는 얘기를 듣고 중앙대학교병원을 찾았다. 그런데, 중앙대병원에서 식도조영술을 통해 검사한 결과, 뜻밖에도 윤씨는 역류성식도염이 아닌 ‘식도이완불능증’이라는 난생 처음 듣는 생소한 진단을 받았다.

‘식도이완불능증’은 음식물이 위장으로 내려가지 못하고 식도 내에 정체되어 역류되는 질환으로, 식도이완불능증 환자에서 식도암 발생율은 0.4∼9.2%로 보고되며, 건강한 사람에 비하여 식도암 발생 위험도가 약 14∼140배 정도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보통 역류성식도염과 증상이 비슷해 오인하는 경우가 많은데, 역류성식도염은 식도 괄약근의 조이는 힘이 약해지거나 식도가 통과되어 내려오는 횡격막의 틈이 벌어져 위 내용물이 다시 식도로 역류하기 때문에 생기는 것으로 식도 괄약근이 이완되지 않는 식도이완불능증과는 증상의 발생 원인과 치료법에 있어 차이가 있다.

중앙대학교병원 외과 박중민 교수는 “비슷한 증상 때문에 식도이완불능증을 역류성식도염으로 오인해 제대로 된 치료를 받지 못하고 고생하는 환자들이 많은데, 두 질환은 증상은 비슷하지만 치료법에 있어 차이가 있어 반드시 구분돼야 한다”면서, “식도이완불능증 환자는 역류성식도염 약물을 복용해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기 때문에 삼킴곤란과 역류가 지속되며 체중감소가 있는 경우에도 ‘식도이완불능증’을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식도이완불능증의 진단방법으로는 식도조영술 검사를 통해 식도의 연동운동이 없이 식도가 확장되어 있고 하부식도가 협착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식도 내부와 하부식도괄약근의 압력을 측정하는 식도내압검사를 통해 하부식도괄약근 압력의 상승 및 하부식도괄약근 이완이 불완전한지를 관찰해 진단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삼킴곤란을 일으키는 다른 질환인 식도암이 아닌지 확인을 위해 위내시경이 필요하다.

한편, 식도이완불능증의 치료에 있어서는 약물치료, 보툴리늄 독소 주입법, 풍선확장술, 내시경적 근절개술, 복강경수술요법 등이 있는데, 약물치료는 단기적으로는 효과를 볼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 투여할 경우 효과가 점점 떨어지고, 두통, 저혈압 등의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

특히 근본적인 수술 치료법의 성공률을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전신상태가 좋지 않아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에만 고려해야한다. 때문에 내시경 또는 복강경 수술을 이용해 식도 근육층을 직접 자르는 수술이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이며, 특히 복강경수술은 수술 이후 발생할 수 있는 위식도 역류를 방지하는 항역류수술을 포함하기 때문에 삼킴곤란 증상과 위식도 역류 증상을 둘 다 잡을 수 있어 장기적인 효과에 있어서 가장 확실한 치료법이라고 할 수 있다.

박 교수는 “식도이완불능증은 방치될 경우 식도암에 걸릴 위험이 높으며, 삼킴곤란과 극심한 역류증상으로 인해 삶의 질을 심각하게 저하시키기 때문에 이러한 증상이 있으면서 역류성식도염 약을 복용해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을 경우 병원을 찾아 정확한 진단을 통해 제대로 된 치료 방법을 논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