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여자 특이HLA-DQ항체, 만성거부반응 → 이식신장 기능 소실 원인

신장(콩팥)이식 수술 후 만성거부반응을 일으켜 이식신장의 기능소실을 유발하는 특정 공여자 특이항체(donor-specific HLA antibodies, 이하 DSA)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규명됐다.

신장이식은 말기 신부전 환자에게 가장 이상적인 치료법으로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이식 이후 공여된 신장에 대한 수혜자의 면역반응으로서 ‘공여자 특이 항체’ 가 발생하고, 이는 ‘만성 이식신 거부반응’ 을 유발하여 이식 신장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중요한 원인으로 지목되어 왔다.

최근 항체의 검출이 용이한 다중형광비드법이 신장 이식 환자에서의 공여자 특이항체 진단에 적용되고 있으나, 다양하고 많은 종류의 공여자 특이 항체 중 어느 특정 항체가 이식신장의 기능 소실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는지는 아직 연구되지 않았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장기이식센터 오은지(진단검사의학과), 정병하·양철우(신장내과), 김지일·문인성(이식외과) 교수팀은 2010년부터 2014년까지 서울성모병원에서 신장이식을 받은 환자 총 263명의 혈액 검체를 분석한 결과, 30.0%인 79명에서 공여자 특이항체가 이식 이후 검출됐다.

검출된 공여자 특이항체를 HLA-A, HLA-B, HLA-C, HLA-DR, HLA-DQ 로 분류한 후, 이식 신장의 자세한 조직학적인 소견과의 연관성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모든 종류의 공여자 특이 항체가 이식 이후 ‘거부반응’의 발생과 연관성을 보였고, 특히 공여자 특이 HLA-DQ항체(이하 DQ-DSA)는 이식신장 조직의 ‘만성거부반응’과 밀접한 연관성을 보였다.

또한 항체 검출 이후의 이식신장의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다변량 분석에서 DQ-DSA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인자인 것으로 확인되어, DQ-DSA가 만성적인 이식 신 거부반응을 일으키고, 이는 이식신장의 기능 소실 발생과 직접적으로 연관됨을 증명했다.

진단검사의학과 오은지 교수는 “공여자 특이항체의 임상적 중요성을 강조한 연구는 많았으나, 그 중 DQ-DSA가 만성 항체 매개성 거부반응 발생과 연관성이 있음을 자세한 조직학적 소견 분석을 바탕으로 밝혀낸 것은 본 연구가 최초이다”라고 소개했다.

신장내과 정병하 교수 “이번 연구를 통해, 이식환자에서 특이항체 중 하나인 DQ-DSA 검출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이식환자 신장의 수명을 늘리고 이식 성적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줄 것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메디슨(Medicine)’ 2월호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