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평원 평가결과 공개…전체 평균 58.2점, 종별 편차↑

최초로 실시된 중환자실 적정성평가에서 단 4%(11개 기관)만이 최고 등급인 1등급을 받았다. 상급종합병원 중에서도 1등급은 단 9개소에 그쳤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16일 종합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한 중환자실 적정성평가 결과를 최초로 공개했다.

이번 적정성평가는 우리나라 중환자실의 질적 수준을 높이고 병원 간 격차를 줄이기 위해 실시됐으며, 평가대상은 총 266기관·3만 7577건(상급종합병원 43곳, 종합병원 223곳)에 대해 2014년 10월부터 12월까지의 중환자실 입원 진료분이다.

평가지표는 인력·시설·장비 등 구조부분과 중환자를 진료하는데 필요한 기본과정을 제대로 수행해 나가는지를 평가하는 진료과정, 48시간 내 재입실률을 평가하는 진료결과 등 총 7개 평가지표로 구성됐다.

▲ 중환자실 적정성평가 등급별 종별 기관 현황.

그 결과 1등급은 11개 기관(상급종합병원 9기관, 종합병원 2기관)으로, 평가대상의 4.2%에 불과했다.

1등급에는 상급종합병원은 ▲강북삼성병원 ▲경희대병원 ▲고대구로병원 ▲삼성서울병원 ▲서울대병원 ▲서울아산병원 ▲연대세브란스병원 ▲분당서울대병원 ▲부산대병원 등이었고, 종합병원 중에는 ▲양산부산대병원 ▲칠곡경북대병원 등이 이름을 올렸다.

이어 2등급 64기관(24.3%), 3등급 52기관(19.8%), 4등급 90기관(34.2%), 5등급 46기관(17.5%) 등이었다.

상급종병-종병, 벌어지는 격차
심평원이 발표한 중환자실 적정성평가 결과를 보면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의 격차는 현저했다.

▲ 중환자실 적정성평가 지표별 결과.

먼저, 중환자실 전담전문의 1인당 병상 수는 평균 44.7병상(상급종합병원 40.4병상, 종합병원 48.9병상)이었고, 특히 종합병원 178개 기관에는 중환자실 전담전문의가 없었다.

아울러 중환자 진료 중 발생 가능한 상황에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표준화된 진료 프로토콜 9종을 갖고 있는 지에 대한 평가에서는 상급종합병원은 모두 구비하고 있었지만, 종합병원은 67.6%(150기관)만 모두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부정맥 혈전증 예방요법 실시 환자비율, 표준화 사망률 평가 유무를 평가하는 진료과정 부분도 마찬가지였다.

연간 실제 사망자 수와 중증도에 따라 계산된 연간 예측 사망자 수 비율인 표준화 사망률을 자율적으로 평가하는 기관은 총 122개소(46%)로 나타났는데, 이 가운데 상급종합병원은 95.3%에 달했지만, 종합병원은 36.5%에 불과했다.

심평원 평가1실 이기성 실장은 “이번 평가는 중환자실에 입실한 환자들의 표준화된 중증도가 없어 사망률이나 감염률 등 주요 지표를 적용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며 “이번 평가지표는 규모가 작은 종합병원에게 좋은 평가를 받기 어려운 것도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 실장은 “앞으로 2차 평가는 중환자실의 질적 수준에 대해 정확한 평가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학회 등과 지속적인 논의를 통해 관련 기준을 개선·보완할 예정”이라며 “이번 평가에서 낮은 등급을 받은 기관에 맞춤형 상담을 실시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