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서울대 이철희 원장 O2O 병원 접목 강조…“온·오프라인 연계로 환자 불편 해소”

#. 당뇨와 고혈압 진료차 한 달에 한 번 꼴로 집 근처 상급종합병원을 찾는 A씨는 병원을 찾을 때마다 짜증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평일에 진료를 받아야 하는 까닭에 회사는 매달 병원 진료를 이유로 월차를 내는 데 눈치가 보이기도 하고, 가득 찬 병원 주차장에 차를 대는 것도 여간 어려운 게 아니다. 겨우 주차에 성공하고 진료실에 올라갔지만, 이미 예약환자는 포화상태. A씨는 진료실 앞 대기실에서 지연되는 진료예약시간을 바라보며 마냥 앉아만 있다.

▲ 분당서울대병원 이철희 원장은 1일 열린 바이오코리아 2016에서 ''O2O 의료와 창조벤처' 세션을 통해 O2O와 병원의 접목을 강조했다.

어쩌면 A씨처럼 대형병원을 찾는 환자의 불편함과 A씨와 같은 환자들은 없어질 수도 있겠다.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O2O(Online to Offline) 비즈니스를 적용하면 A씨가 겪는 문제는 해결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기 때문이다.

분당서울대병원 이철희 원장은 1일 열린 바이오코리아 2016 'O2O 의료와 창조벤처' 세션 발표자로 나서 O2O 비즈니스가 대형병원에서 발행사는 주차, 환자 대기시간 지연 등의 불편함을 해소해줄 것이라고 주장했다.

O2O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합하는 방식의 마케팅 및 서비스를 일컫는 말로, 정보가 빠르게 유통되는 온라인과 실제 소비자 일어나는 오프라인의 특징을 결합한 개념이다.

이 원장은 “분당서울대병원만 하더라도 해마다 15% 이상 환자가 늘고 있고, 이 때문에 주차문제부터 발생하기 시작한다. 특히 환자 개인은 회사에 휴가를 내고 이렇게 혼잡한 병원을 방문해야 한다”며 “병원에 방문하지 않는다고 해서 진료를 보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 기술이 충분한데도 이를 활용하지 못하고 있으니 답답할 따름”이라고 말했다.

이 원장은 “최근 스마트폰이 등장하면서 온라인으로 제품을 확인하고 오프라인에서 구매하는 현상인 웹루밍(Webrooming)이 나타난 것처럼 대표적 오프라인 비즈니스인 헬스케어분야는 이제 온라인으로 옮겨가야 한다”면서 “O2O는 헬스케어분야에서 오프라인에서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이 원장은 O2O 비즈니스를 의료에 접목하면 경제적 손실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 원장은 “O2O 비즈니스의 대표적 모델인 카카오택시의 성공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추구하고 기존 사업자들에게도 이득을 줬다”면서 “O2O를 병원에 적용하면 수납직원을 반으로 줄여도 되고 주차장에 80억원씩 돈을 들이지 않아도 된다”고 말했다.

O2O 비즈니스 모델을 의료에 접목하며 이같은 장점들이 있지만, 정작 국내에서는 정부의 규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질타하기도 했다.

이 원장은 “당국의 규제로 인해 분당서울대병원이 개발한 당뇨병솔루션은 중국에서 먼저 출시됐다. 우리가 개발해 놓고 중국이 먼저 이득을 보는 상황”이라며 “국내 헬스케어 분야 벤처기업들도 당국의 규제 대문에 외국에 먼저 출시하는 경향이 짙다. 이게 무슨 난센스냐”고 지적했다.

특히 정부가 추진하려는 원격의료 정책을 두고 의료계의 반발이 거센 것을 지적하는 목소리도 냈다.

이 원장은 “원격의료가 시행되면 개원가에서는 대형병원에 환자를 빼앗긴다고 이야기하는데 사실 대형병원에서는 만성질환환자가 많아 짜증날 정도”라며 “이를 오히려 개원가로 분산시키는 게 옳은 방향”이라고 말했다.

이어 “정부를 설득해 원격의료 시범사업을 진행하기로 했고 38억원의 예산을 받아 시범사업을 진행키로 했지만, 정부의 발표에 의사들이 데모에 나서고 결국 정치적 이슈로 변질되고 말았다”며 “결국 원격의료 정책은 시행되지 않을 수 없다. 빠른 시일 내에 진행되리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당국아, 규제 좀 풀어다오”
한편, 이날 새션에 참석한 토론자들은 정부의 합리적인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바이오니아 박한오 대표는 “최근 영국에서는 현장형 분자진단기기를 간호사 또는 일정기간 교육을 받은 일반인도 사용할 수 있지만, 국내에서는 진단검사의학과 전문의만 사용이 가능하다”며 “이 때문에 업계에서는 분자진단기기를 개발해봤자 시장성이 없다고 판단하고 있다. 세계 분자전단기기 시장을 쫓아가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박 대표는 “분자진단은 굉장히 복잡하기에 전문의가 해야 하는 게 맞지만 현장형 분자진단기기는 자동화돼 있어 혈액을 집어넣기만 하면 결과가 나온다”면서 “그런데도 이를 전문의만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면 시장 자체가 형성되지 않는다. 선제적으로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네오펙트 반호영 대표는 “UI나 색상 변경은 FDA나 EC에서는 굳이 변경신고를 하지 않아도 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변경신고 대상”이라며 “개발자 입장에서는 주된 변화도 아닌데 변경신고를 매번 하는 것은 기술에 대한 이해가 없는 것이다. 합리적 규제완화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