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세 전·후, 고·저위험군 따라 항혈소판제 적용 여부 갈려

 
 

당뇨병 환자는 심혈관질환 고위험군으로, 장기이환 환자의 대부분이 관상동맥질환이나 뇌졸중 등 심혈관 합병증으로 사망한다. 당뇨병의 종착역에 심혈관질환이 기다리고 있는 것이다. 이 여정은 심혈관 위험인자(고혈당·고혈압·비만·이상지질혈증) → 죽상동맥경화증 → 죽상경화반에 의한 혈전 또는 색전 → 심·뇌혈관질환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대표적이다. 대한당뇨병학회 ‘Korean Diabetes Fact Sheet 2015’에서 2013년 우리나라 당뇨병 환자의 허혈성 뇌졸중과 심장질환 발생빈도는 인구 1만명 당 295명과 248명으로 비당뇨병 환자(62명, 59명)에 비해 상당히 높다.

자세히 들여다보면 심혈관질환 발생에 혈소판 활성화에 의한 혈전 또는 색전증 위험이 주요인자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엿볼 수 있다. 때문에 당뇨병 환자의 종착역인 심혈관사건(심근경색증, 뇌졸중, 심혈관 원인 사망)을 막기 위해서는, 심혈관질환 병력이 없을지라도 고위험군일 경우, 1차예방을 위해 혈전관리에 적극 나서야 한다. 당뇨병 환자의 심혈관질환 예방과 관련해 항혈소판요법이 주 전략의 하나로 간주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여성 아스피린 연령 50세 이상으로 확대
당뇨병 환자의 심혈관질환 예방을 위한 항혈소판요법에는 아스피린이 여전히 주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미국당뇨병학회(ADA)는 새 가이드라인에서 당뇨병 환자의 항혈소판요법에 아스피린을 1차선택으로 내세우고 있다. 다만 당뇨병 환자 전반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가이드라인은 심혈관질환 고위험군에게만 1차예방 목적의 아스피린을 사용할 수 있도록 명시했다.

가이드라인 권고안에 따르면, 심혈관질환 고위험군(10년내 발생 위험도 10% 초과)인 제1·2형 당뇨병 환자의 1차예방 전략으로 아스피린(1일 75~162mg)을 고려한다. 여기에는 심혈관질환 가족력, 고혈압, 흡연, 이상지질혈증, 알부민뇨 등 추가적인 심혈관 위험인자를 하나 이상 보유한 50세 이상 환자가 포함된다. 지난해 권고안에서는 이들 고위험군 가운데 여성은 60세 초과 연령대에서부터 아스피린을 사용할 수 있도록 했었는데, 이를 남녀 모두 50세 이상으로 통일해 아스피린을 적용하도록 했다.

50세 미만 저위험군에는 비권고

 

심혈관질환 저위험군에서도 남녀 연령대의 차이를 두지 않고 50세 미만을 통일해 적용했다. “추가적인 심혈관 위험인자 없는 50세 미만 당뇨병 환자와 같이 죽상동맥경화성 심혈관질환(ASCVD) 위험이 낮은 경우(10년내 발생 위험도 5% 미만)에는, 잠재적 부작용 위험이 혜택을 상쇄할 가능성이 높은 만큼, ASCVD 예방을 위한 아스피린 치료가 권고되지 않는다”는 것이다<표>. 

한편 ADA는 “아스피린 치료에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는 ASCVD 환자에게는 클로피도그렐(1일 75mg)을 사용해야 한다”며 대체수단을 언급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