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의대 김영훈 교수팀 골형성 촉진제 권고

골다공증 치료약으로 최근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골흡수억제제(비스포스포네이트 제제)가 골다공증성 척추균열 위험을 4.8배 높인다는 국내 연구 결과가 나와 주의가 요망된다.

골흡수억제제는 골다공증 골절 예방에 크게 기여하고 있는 한편, 발생빈도는 낮지만 턱뼈괴사, 비전형 대퇴골골절과 같은 부작용도 보고되고 있어 관찰이 필요하다. 이번에는 척추 균열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나왔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정형외과 김영훈․ 하기용 교수팀이 골다공증성 척추골절이 발생한 환자 105명을 골흡수억제제를 복용한 과거력이 있는 환자 66명과 복용한 적이 없는 환자 39명으로 나누어ㄱ결과, 약을 복용한 환자군에서 척추체내 균열(IVC:Intravertebral cleft)이 발생할 위험이 약의 사용력이 없던 환자에 비해 4.8배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X-레이 검사결과 골다공증약을 복용한 과거력이 있는 환자의 30%인 20명에서 척추체내 균열이 발생하여, 복용 이력이 없는 환자의 20.5%인 8명보다 유의하게 많았다.

척추체내 균열은 골다공증성 골절 환자가 정상적으로 뼈가 붙지 못하고 척추 주변 조직의 괴사로 인해 척추사이에 틈이 생기는 것으로, 균열이 심하면 골절치료가 어렵다.

김영훈 교수는 “골다공증 치료약제 중 골흡수억제제는 정상적인 골절치유에 영향을 줄 수 있기에 이러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이며, 골다공증성 척추골절의 초기 치료에 있어서 골다공증 치료약제를 선택할 때 골흡수제의 사용보다는 골형성 촉진제 사용을 권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김 교수는 “이러한 골다공증성 척추골절의 사회적 중요성을 인식하여 대한척추외과 학회의 ‘골다공증치료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에 주도적 참여하고 있으며, 2016년 추계학술대회에서 이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 예정이다”고 덧붙였다.

하기용 교수는 “골다공증성 골절을 예방하기 위해 40대 이전에 충분한 유산소 운동과 영양공급을 하고, 주기적인 골다공증 검사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연구는 연구는 국제학술지이며 골다공증 연구 분야에서 가장 높은 영향력이 있는 ‘국제골다공증학회지(Osteoporosis international)’ (IF 4.169) 7월에 게재되었고, 교수팀은 이번 연구로 2015년 대한골다공증학회에서 우수연제상을 수상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