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립 70주년 맞은 대한비뇨기과학회 당면과제는?

▲ 11월 18~20일 서울 The K 호텔 컨벤션센터에서 대한비뇨기과학회 67차 추계학술대회가 열렸다.

대한비뇨기과학회(회장 주명수)가 창립 70주년을 맞았다.

'함께 일군 70년, 도약하는 비뇨기과'라는 슬로건 아래 11월 18일부터 3일간 서울 The K 호텔 컨벤션센터에서 추계학술대회를 개최하는 중으로, 대회 첫날에는 원로회원, 전임 회장과 국제비뇨기과학회 회장들이 함께 모여 기념식도 거행했다.

대회기간 중 동시에 진행되는 아시아비뇨기포럼 참석차 아시아비뇨기과학회(ACU)와 대만비뇨기과학회 회장, 중국비뇨기과학회 대표가 방한했고, 비엔나대학 Shariat 교수와 유럽비뇨기과학회(EAU) Thueroff 교수, 미국비뇨기과학회(AUA) 차기회장인 Babayan 교수 등 해외 석학들과의 활발한 교류도 눈에 띤다. 

그러나 정작 내부적으로는 산적한 과제들이 너무 많다는 게 비뇨기과학회의 현실이다.


"전공의 확보율, 신규전공의총정원제로 해소 기대"

가장 시급한 문제로는 급감하는 전공의 확보율이 꼽힌다.

▲ 서주태 홍보이사

2011년 이래 지난 5년간 비뇨기과의 전공의 확보율은 11' 54.9%→12' 47%→13' 44.8%→14' 24.7%→15' 41.4% 순으로 절반에 미치지 못했는데, 의전원에서 의과대학 체제로 전환되고 비뇨기과 수요-공급의 불균형이 어느 정도 해소되려면 최소한 5~8년은 걸릴 것이라는 전망.

특히 최근 3년간은 전공의 확보율이 최하 수준을 기록하며 '빈익빈 부익부' 현상을 가중시키는 실정이다.

이런 현실 속에 학회는 '신규 전공의 총정원제'에 희망을 걸고 있다.

즉 전공의 총정원수를 50명 정도로 제한하자는 것인데, 수련 환경이 기준 이하인 수련병원은 신규 전공의 배정에서 우선적으로 제외되기 때문에 전공의들에게 양질의 수련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는 논리다.

전체 전문의 대비 비뇨기과 전문의 비율이 3% 이상으로 과잉 상태인 국내 실정을 고려할 때 전공의 확보율은 증가시키면서 전문의 수급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아 전체 전문의 과잉현상까지 해소하는 효과를 기대해볼 수 있다.

대한비뇨기과학회 서주태 홍보이사(제일병원)는 "우리나라의 비뇨기과 전공의 정원 안은 미국과 비교해 3배 이상 많은 상태"라면서 "신규 전공의 정원을 30명까지 감축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미 외부용역 연구에서도 향후 수요-공급을 맞추기 위해서는 신규 정공의 정원을 최소 50명으로 줄여야 한다는 근거가 확보된 상태다.

서 이사는 "학회가 외부용역 및 자체조사를 거쳐 신규 전공의 총 정원을 50명으로 줄이자는 데 학회 회원들의 의견이 모였고, 2017년 정원부터 시행할 예정"이라면서 "전공의 과잉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할 뿐 아니라 모든 전공의들에게 보다 질 높은 수련을 받을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5ARI 오남용 방지하려면 급여기준 강화돼야"

다음은 5알파환원효소 억제제(5ARI)의 보험급여에 관한 부분이다.

▲ 민승기 보험이사

피나스테리드(finasteride)로 대표되는 5ARI는 전립선 용적을 감소시킴으로써 전립선비대증으로 인한 급성요폐나 수술 빈도를 줄이는 데 효과적인 약물이다.

단, 남성호르몬을 차단한다는 기전상 특징 때문에 성욕감퇴, 사정장애 및 발기부전 같은 부작용 발생 위험이 존재한다.

따라서 약물을 투여하기 전 복약과 관련해 발생될 수 있는 성기능 및 불임 관련 문제들에 대해 충분한 설명과 성기능에 대한 평가는 필수.

5ARI는 전립선암 선별검사로 시행되는 혈청 PSA 측정값에도 영향을 미쳐 관련 지식이 부족한 의사들은 전립선암 진단시기를 놓치는 치명적인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에 대한비뇨기과학회는 5ARI를 처방할 때 반드시 △전립선 비대증 배뇨 증상이나 남성생식기 질환 증상에 관한 문진 △국제전립선증상점수표(IPSS) △혈청 PSA 검사 △직장수지검사(DRE) 또는 경직장전립선초음파(TRUS) 등에 의한 전립선 크기 및 소견 명시가 필요하다고 제시한다.

이와 같은 기록이 있는 경우에 한해 2주 이상 장기처방의 보험급여를 인정하는 것이 의학적 근거에서 타당하고 환자의 안전을 위한 길이라고 보고 있다.

대한비뇨기과학회 민승기 보험이사(국립경찰병원)는 "학회가 복지부, 심평원에 5ARI의 급여기준 제한 요청 서한을 보냈지만 불분명한 사유 및 타과에서 반대한다는 이유로 현재 진행이 보류된 상태다. 타과에서 반대하는 사유들은 근거가 없고 실제 본 약제의 작용 기전 및 부작용 등에 대해 심각하게 고려하지 않은 처사"라고 비판했다.

다른 나라들과 비교해봐도 현재 우리나라의 5ARI 처방 기준은 지나치게 자유로운 편이란 게 학회의 생각이다.  

민 이사는 "다른 과에서 처방을 하지 말라는 의미가 아니라 환자안전을 위해 최소한의 규정을 두자는 취지"라면서 "최근 급증하는 국내 전립선암 발생 추이나 상대적으로 높은 고위험 전립선암 비율을 고려할 때 반드시 시정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로봇수술 급여화는 시기상조"

대한비뇨기과학회는 정부가 중증질환 보장성 강화정책의 일환으로 추진하고 있는 '로봇수술 급여화'에 대해서도 반대 의사를 밝혔다.

▲ 주명수 회장

로봇수술을 하려면 의사, 전문간호사 등 수많은 전문인력 양성 비용과 고가의 장비, 소모품 외에도 어마어마한 유지관리비가 들어간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가 현재 독점 공급하는 로봇수술 장비 회사와 비용을 낮추는 등의 대책을 마련하지 않은 채 급여화 된다면 기존 관행수가의 반정도 수가가 될 것이 뻔하다는 것.

특히 로봇수술이 간단한 양성질환으로 확대되는 추세를 고려할 때 고난이도의 최신 수술을 하는 비뇨기과는 저수가 급여로 고통 받고, 쉬운 양성질환 수술을 하는 타과는 비급여의 높은 수가를 받는 역차별 가능성이 많다는 판단이다.

민 이사는 "국내 업체에서 로봇수술 기기를 출시할 경우 수술원가가 내려갈 수 있다는 가능성만으로 비뇨기과 등 로봇수술을 운영하는 특수과와 병원에 희생을 강조해선 안된다"면서 "아직까지 로봇수술 급여화는 시기상조다. 대형 병원으로의 환자쏠림 현상과 왜곡된 의료전달체계의 혼란을 더욱 가중시키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대한비뇨기과학회 주명수 회장(서울아산병원)은 "학회가 어려운 중에도 비뇨기과 홍보책자를 만들고 블루애플 캠페인, 2015 학생캠프 (You are future of Urology, UFO)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며, "양보단 질적 향상에 포커스를 맞추고, 위기를 기회로 삼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