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발전 - 수명연장 - 사회 고령화’라는 연결고리에 대해서는 세계적으로 컨센서스가 구축돼 있다. 이런 가운데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문제는 이 연결고리의 순환이 반복되면서 전 세계의 사회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고, 이와 비례해 치매 유병률도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유럽의 상황은 사회 고령화와 치매 유병률의 상호 상승 경향을 여실히 보여준다. 치매 유병률이 대부분 80세 이상에서 급증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유럽에서는 95세 이상 인구의 절반 가량이 치매에 이환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게다가 인구변화로 인해 최근 20년 간 유럽의 치매 유병률은 50% 증가했고 향후 20년동안 비슷한 경향을 보이며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일각에서는 향후 인구 고령화 양상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연령별 치매 유병률이 떨어질 수 있다는 연구도 있지만, 연령별 유병률 감소폭이 전체 유병률 상승률을 상쇄하기는 부족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중지다.
사회 고령화와 치매의 연결고리는 선진국뿐만 아니라 개발도상국에서도 확인된다. 게다가 급속하게 고령화되고 있는만큼 선진국보다 치매 유병률의 증가폭도 크다.

선진국에서는 2030년까지 치매 유병률이 전반적으로 50% 가량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데 비해 중저소득국가에서는 약 80%까지 예상되고 있다.

국내 고령인구·치매환자 증가, 더 빠르다
우리나라는 ‘사회고령화 - 치매 유병률 증가’의 순환이 빠르게 나타나고 있는 국가로 꼽힌다. 현재 선진국 중 일본이 가장 빠른 고령화 속도를 보이고 있는데 일본의 경우 80세 이상 인구비율을 비교했을 때 1990년 2%에서 2040년에는 14% 이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00년에 고령화 사회(65세 이상 인구비율 7%)에 진입한 이래 2026년 초고령 사회(65세 이상 인구비율 20%)로 진입할 것으로 추정돼 일본보다 10년 이상 빠른 고령화 속도를 보이고 있다. 서양의 선진국보다도 4배 가량 빠른 속도다.

치매 유병률 증가속도 역시 급격하다. 보건복지부의 2012년 치매 유병률 조사에서는 국내 65세 이상 인구 61만명이 치매 환자로 나타났고 17년마다 2배씩 증가해 2024년에는 100만명, 2041년에는 200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발생률로 평가하면 2014년 9.58%에서 2024년 12.26%, 2041년 12.26%, 2050년 15.06%로 증가하는 셈이다. 또 치매가 호발하는 연령대도 85세 이상으로 유럽과 비슷한 경향이다. 65~69세의 치매 발생률이 1.3~3.6%인데 비해 85세 이상에서는 30.5~33.2%로 높다.

한편 국제알츠하이머병기구는 2013년 세계 치매환자수가 2013년 4400만명, 2030년에는 7600만명, 2050년에는 1억 3500만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한 바 있다.

 

가정부터 사회에 이르기까지 경제적 부담도 증가
세계적인 사회 고령화와 이에 동반되는 치매 유병률 증가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이를 적극적으로 관리해야 한다는 데 의견이 모이고 있다. 이는 치매가 보건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으로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우선 치매가 사망 위험과 직접적으로 연관성이 있다는 점이 지적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치매를 ‘조기 사망을 초래할 수 있는 질병부담’으로 정의했다. 특히 치매는 2000년 이후 12년간 장애로 인한 질병부담 증가폭이 24%로 가장 큰 것으로 보고됐다.

 

국내에서도 유병률 증가와 함께 치매로 인해 손실된 건강수명도 증가하고 있다. 2008년에는 25만 6647년, 2010년에는 27만 4849년이 치매로 인해 손실된 총 건강수명으로 집계됐고, 2050년에는 3배 가량 증가해 81만 4629년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사회경제적인 측면에서도 치매에 대한 적극적인 관리가 촉구되고 있다. 우선 직접적으로 치매는 장기요양과 의료비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독일에서는 전체 의료비의 3.7%(2008년), 네덜란드는 5.5%(2011년)가 치매 관리에 소요됐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3%(2009년)로 집계됐지만, 유럽에서는 대부분의 비용이 장기요양비였던 반면 우리나라에서는 의료비에 대한 비중이 높았다는 점은 주목할만 하다.

간접비용 역시 간과하기 힘들다. OECD는 치매는 가족이나 보호자, 나아가서 지역사회 전반의 경제적 상황에 영향을 미친다고 지적했고, 유병률 증가와 함께 경제적 부담도 빠르게 증가한다고 강조했다. 가족, 보호자가 경제적 부담을 감당하고 있지만, 공적 조호비용은 대부분 공공예산에서 충당하고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간접비용 역시 국가적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