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DM2015] Diabetes Fact Sheet in Korea 2015 공개

 

대한민국 성인 10명 중 1명이 당뇨병을 앓고 있다는 진단이 나왔다.

대한당뇨병학회(이사장 이기업)는 16일 제5회 국제당뇨병학술대회(International Conferene on Diabetes and Metabolism, ICDM 2015)에서 Diabetes Fact Sheet in Korea 2015(DFS 2015)를 최초 공개했다.

이번 데이터는 Diabetes Fact Sheet in Korea 2013이 발표된지 2년만의 업데이트로서,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청구자료 및 건강검진자료를 기반으로 30세 이상 성인의 당뇨병 관련 역학자료를 분석한 것이다.

학회는 지난해 6월 건보공단과 업무협약(MOU)을 맺은 뒤 공단 전수자료를 넘겨받아 진단코드부터 의료행위, 약물사용 등 실제적인 자료를 확보하고 17개 세부연구를 진행해 왔다.


당뇨병 느는데...3%는 여전히 방치

분석에 따르면, 2006년 165만 5495명(5.6%)에 머물렀던 당뇨병 환자수는 지난 7년간 꾸준히 증가하면서 2013년 272만 777명(8.0%)에 이른다. E11~E14의 진단코드와 당뇨병 약제 처방코드를 당뇨병 정의로 삼았을 때의 얘기다.

▲ 지난 7년간 국내 성인의 당뇨병 유병률은 5.6%(165만 5495명)에서 8.0%(272만 777명)로 증가됐다.

검진자료에서는 당뇨병 환자가 10.89%로 조사돼, 당뇨병 진단 후 약제를 복용하지 않거나 당뇨병 진단을 받지 않은 환자가 약 2.89%임을 확인할 수 있다. 공복혈당 100~125mg/dL에 해당하는 당뇨병전단계는 전체 성인의 25.0%를 차지했다.

문제는 당뇨병이 고혈압, 관상동맥질환 같은 심혈관계 질환이나 이상지질혈증 등의 동반율이 높고, 암 같은 합병증 발생에도 취약하다는 사실이다.

당뇨병 환자의 62.5%가 고혈압으로 약물치료를 받고 있었으며, 고혈압 유병률은 당뇨병이 없는 이들에 비해 약 3.7배 높았다.

이상지질혈증은 보다 심각한데, 당뇨병 환자들의 절반 가량(49.5%)이 관련 약제를 복용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당뇨병 환자에서 이상지질혈증 유병률은 당뇨병이 없는 경우에 비해 약 5배 더 높았다.

또한 전체 말기신질환자(ESRD) 가운데 8만 3243명(38.8%)이 제2형 당뇨병을 동반한 것으로 밝혀져, 신기능저하의 명백한 위험인자라는 사실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당뇨병 환자들 중에서는 3만 2312명(1.2%)이 말기신질환(ESRD)을 동반하고 있었다. 당뇨병 관련 말기신질환자들의 사망률은 9.7%로 비당뇨병성 말기신질환자(5.2%)들보다 2배 가량 높다.

당뇨병 환자에서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80.4%로 당뇨병이 없는 이들(26.0%)보다 3배 가량 높았으며, 치매 유병률 역시 증가돼 있었다(5.2% vs. 4.2%). 당뇨망막병증(diabetic retinopathy)으로 진단된 환자는 43만 1964명(15.9%)이었는데, 그럼에도 정기 안검진을 시행받는 환자는 30%에 불과해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함을 시사했다.


메트포르민 '뜨고' SU '지고'...병용요법 강세

새로운 Fact Sheet에서는 지난 7년간 우리나라의 당뇨병 치료제 사용 패턴변화도 확인할 수 있다.

계열별로는 2002년 절반(52.9%)에 불과했던 메트포르민 처방률이 2013년 80.4%까지 올랐으며, 반면 설포닐우레아(SU) 계열 약물은 87.2%에서 58.5%로 하향세를 그린다.

DPP-4 억제제는 2008년 도입 이후 극적인 처방률 증가를 보이면서 2013년 처방순위 3위(38.4%)에 랭크됐다. 인슐린은 7년 전 8.6%에서 16.4%로 소폭 증가됐지만 대부분 제1형 당뇨병에 의한 영향으로, 제2형 당뇨병으로 인슐린을 투여 받고 있는 환자는 10% 수준에 그쳤다.

▲ 약제처방 면에서는 단독요법이 줄고, 이제요법, 삼제요법 같은 병용요법이 늘었다.

약제간 병용이나 복합제가 강세를 보이는 추세도 고스란히 반영됐다.

단일 약물만 처받받는 환자는 2002년 58.4%에서 2013년 3.5%로 점차 줄고 있으며, 그 공백을 이제요법(35.0%→44.9%)과 삼제요법(6.6%→15.5%)이 채웠다.

단독요법의 경우 메트포르민(53.2%), 설포닐우레아(30.6%), 인슐린(10.8%) 순으로 단연 메트포르민이 우위를 차지했으며, 이제요법은 설포닐우레아 + 메트포르민(41.7%), 메트포르민 + DPP-4 억제제(32.5%), 설포닐우레아 + DPP-4 억제제(4.8%), 인슐린 + 메트포르민(4.4%) 순이다.

▲ TF팀장을 맡은 고경수 교수

사회경제적 비용 측면에서도 그 부담이 만만치 않은데, '2014년 건강보험 통계연보'에 따르면 인슐린-비의존 당뇨병으로 인한 진료비는 1조 3501억원(208만명)으로 고혈압, 만성신질환에 이어 진료비 순위 3위를 차지한다.

당뇨병 약제처방비용은 2002년(825억원) 이후 2010년(4198억원)까지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며 정점을 찍었고, 2013년 현재 4802억원으로 조사됐다.

연간 당뇨병 약제 처방률은 2002년 24.1%에서 2013년 67.2%로, 복약순응도 역시 12.8%에서 44.9%로 11년 새 약 3~4배 증가됐지만, 여전히 순응도가 절반에 미치지 못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지난해부터 1년이 넘는 기간 동안 태스크포스팀(TFT)을 이끌어 온 학회 고경수 총무이사(상계백병원)는 "공단의 빅데이터를 이용했기 때문에 전 국민을 대표하는 통계로서 의미가 크다"며 "향후 국가 단위의 당뇨병 환자 코호트를 구축하고, 당뇨병 예방 및 관리방안을 수립하는 데 적극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