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암 사망률 30년간 지속 증가, 생산연령층 주된 사망원인...조기 진단 필수

사망 위험과 함께 막대한 의료비용의 투입을 부르는 간암 관리에 국가적인 관심이 요구되고 있다.

지난 9월 23일 통계청이 발표한 작년 우리나라 국민 사망원인 통계에 따르면, 간암은 사망원인에선 2위, 의료 투입비용은 단연 1위를 차지했다.

생산 활동이 가장 왕성한 40대와 50대에서 간암으로 인한 사망이 압도적으로 많았다는 것도 주목할 부분이다.

 

지난 통계 자료를 살펴보면 간암은 인구 10만 명 당 22.8명이 사망해 폐암(34.4명)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30년 전 인구 10만명 당 16.2명이 사망한 데 비해 40% 가까이 증가한 셈.

더욱이 성별로 보면 남성에선 인구 10만 명당 34.0명, 여성에서는 11.6명이 사망했다. 간질환으로 인한 사망률도 40대에서 3위, 50대에서 4위를 차지해 간암 및 간질환이 사회경제적인 문제를 야기시킨다는 분석이다.

물론 간암 환자의 최근 5년 생존률이 30.1%로 과거 10.7%에 비하면 많이 향상된 수준이지만, 기타 암종과 비교해 보면 턱없이 낮은 생존율이 지적된다. 2012년 국가암등록사업 연례보고서에 따르면 갑상선암(100%), 전립선암(92.3%), 유방암(91.3%), 대장암(74.8%), 위암(71.5%) 등과 간암의 5년 생존율은 분명 비교가 된다.

간암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 역시 문제다. 2010년 기준 약 3조 7천억원이 투입돼 모든 암 가운데 1위를 차지했다. 2위인 위암이 약 3조 6천억원, 3위 대장암 2조 6천억원, 4위 폐암 약 2조 4천억원과 비교해 월등히 높았던 것.

대한간암학회 간암등록사업위원장인 임영석 교수(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는 "특히 우리 나라에서 간암은 약 70%가 B형간염과 관련해 발생했는데, 1992년 인터페론의 등장을 시작으로 1998년부터 여러 항바이러스제가 도입되면서 간경변증으로 인한 사망률은 감소했다"며 "이에 B형간염바이러스 간질환 환자들의 기대 수명이 증가하며 상대적으로 간암의 발생과 이로 인한 사망이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간암 조기검진 수검률 저조, 민감도 높은 영상장비 사용 확대 필요

무엇보다 간암, 간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을 줄이기 위해서는 적절한 항바이러스 치료로 간경변증과 합병증 발생을 막고 간암을 조기에 발견 및 치료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원격 전이가 진행된 후 간암이 진단되면 5년 생존율이 2.8%에 그치지만 조기에 진단되면 약 49.3%로 양호한 결과를 보이기 때문이다.

간암에 대한 조기 발견, 즉 간암 감시 검사 시스템을 강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게 학계의 중론이기도 하다.

그러나 실정은 다르다. 조기검진을 받는 환자가 다른 기타 암과 비교해 턱없이 낮은 수준인 것.

2003년부터 국가 암검진 사업 대상에 포함된 간암은 만 40세 이상의 간경변증, B형 간염항원 양성, C형간염 항체 양성 등의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매년 간 초음파 검사 및 혈청 알파태아단백 검사를 시행하고 있지만, 간암 조기검진 수검률은 2013년 기준 33.6%에 불과했다. 위암(73.6%), 대장암(55.6%)에 비해 현저이 낮았다.

간암 검진에 주로 이용되는 간 초음파 검사 및 혈청 알파태아 단백의 민감도도 문제로 제시됐다. 이 같은 검진법의 민감도가 41.3% 정도로 자궁경부암(77.1%)이나 대장암(59.3%)에 비해 실제적인 효과가 낮았다.

임 교수는 "이는 검사 방법의 한계에 의한 것으로 CT 혹은 MRI와 같이 민감도가 높은 검사의 도입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하면서 "일본에서는 간암 조기검진 대상자들에 매년 1회 CT 혹은 MRI 검사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는 국내(45%)와 비교해 매우 높은 조기 진단률(57.3%)과 5년 생존률(일본 42.7%, 국내 30.1%)의 주된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현재 학계는 "간암 감시 검진이 필요한 고위험군 선별을 위해 생애전환기 검사(만 40세, 만 66세 시행)에 C형간염 항체 검사 및 혈소판 검사를 포함해야 한다"는 인식을 강조하고 있다.

또 국가 암검진에서 시행하는 간암 감시검사의 주기를 6개월로 단축해 현재 관리 시스템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도 일리가 있다는 분석이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