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능·안전성 검증됐지만 제조·등록 절차상 이유로 불법 취급

광범위한 난치성 원형탈모증(중증 탈모증) 환자 치료에서 우선 추천되는 치료법 중 하나인 'DPCP 면역치료법'이 국내에서 불법 치료 행위로 간주되고 있어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위원회 문정림 의원(새누리당)에 따르면 DPCP(한글명 디펜시프론)는 접촉성피부염을 일으키는 항원물질로,  DPCP 면역치료법은 DPCP를 피부에 도포한 뒤 알레르기접촉피부염을 유도해 피부질환을 치료하고 3~6개월 이상의 치료 기간이 소요된다.

면역세포가 털을 공격해 모발이 빠질 때 DPCP 면역치료법을 이용하면, 두피에 습진을 유발하고 습진에 의해 생성되는 새로운 세포가 2차적으로 털을 공격하는 세포를 방해해 탈모를 막게된다.

▲ 여러 학술지에 게재된 'DPCP 면역치료법'

중증탈모증에서의 DPCP면역치료법은 이미 효과와 안전성이 과학적으로 입증돼 대한피부과학회 교과서 및 전 세계 주요 피부과학 교과서에서 우선 치료법으로 소개되고 있다.

그럼에도 국내에서는 DPCP가 화학물질로 연구용 시약으로만 사용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제약사가 생산하는 의약품이 아니기 때문에 DPCP를 인체에 적용하는 것을 인정하지 않는 것.

식약처는 DPCP 면역치료의 효과와 안전성은 인정하지만 조제실에서 조제된 제품을 의약품으로 인정할 수 없다며, DPCP 면역치료가 제도권 내에 들어가기 위해선 제조소, 제조시설, 제조공정, 품질관리, 포장 등에 있어 일정 수준의 품질을 인정받은 제약사나 단체가 제조해 정식 의약품으로 등록해야한다는 입장이다.

▲ FDA의 DPCP 심의 내용

그러나 미국 FDA에서는 2015년 2월 DPCP를 조제가 가능한 원료의약품 목록인 Bulk Drug Substances List에 등재했다.

미국 FDA가 안전성과 유효성이 많은 교과서 또는 논문에서 입증이 되면 의약품의 목록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예외규정이 있어, DPCP를 의약품 범주로 인정을 한 것이다.

이처럼 DPCP 면역치료법의 효능 및 효과, 안전성이 입증되는 추세인만큼 피부과학회 및 모발학회는 제약사의 제조만 기다릴 것이 아니라 병원 내 조제를 예외적으로 허용할 필요가 있다고 요청하고 있다.

문정림 의원은 "이미 중증탈모증에 대한 DPCP치료 효과에 대해 100여개가 넘는 논문이 발표 되어 있고, 국내는 물론 미국, 중국 등 전 세계 의료진들이 증증도 탈모 환자를 위해 DPCP 면역치료가 사용되어야 한다는 의견을 피력하고 있다"며, "의약품 승인을 위해서는 까다로운 임상시험을 통과해야 하는 미국에서조차 DPCP의 원료물질 조제 사용을 승인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국내에서도 효과적인 탈모 환자 치료를 위해 DPCP 치료법이 쓰일 수 있도록 제도를 검토하라"고 촉구했다.

한편 원형탈모 치료에는 급여가 인정되는 스테로이드 약제가 주로 사용된다. 스테로이드는 효능 및 효과가 좋지만 지속적으로 사용하면 많은 부작용이 발생하고 전두·전신 탈모 환자에게는 사용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문정림 의원은 "식약처는 부작용 우려가 높은 스테로이드 약제는 급여를 인정해 주면서, 각 나라에서 우선 추천되고 있는 DPCP 면역치료법에 대해서는 조제 혹은 제조등록 절차상의 문제를 이유로 '정식 의료 시술'로 인정하지 않아 탈모 환자들의 치료받을 권리가 제한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