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 생활하는 환자의 가족들에게서 유독 '공동의존' 성향 높아

알코올 의존증 환자 가족들이 겪는 정신적 고통이 생각보다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사랑중앙병원이 입원환자 가족을 대상으로 지난 6월 9일부터 7월 11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최근 발표했다.

'알코올 중독은 가족병'이라는 사실을 알리고 가족 교육의 참여율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된 이번 조사에는 10~80대 배우자, 부모, 자녀, 형제자매, 친척 등 환자와 함께 생활해 온 가족 약 100여 명이 포함됐다.

 

조사결과 알코올 의존증 환자 가족의 48.9%가 우울, 자살충동, 불안 등의 증상을 동반하고 있었다. 이외에도 가족 해체 및 갈등문제(21.2%), 경제적 어려움(15.3%), 신체건강 악화(13.9%) 등의 문제를 겪고 있다고 답했다.

알코올 중독 환자의 술 문제를 병이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무려 97.4%가 '그렇다'고 응답했고, 환자 스스로 술을 끊을 수 있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85.5%가 '그렇지 않다'고 대답했다.

또 가족의 노력으로 알코올 의존증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는 '그렇지 않다'가 69.7%를 차지해 많은 가족들이 알코올 의존증 치료를 위한 전문적인 치료가 필요함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무형 원장(정신건강의학과)은 "많은 가족들이 치료를 위해 병원의 도움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인식과는 다른 행동을 보이는 경우가 있다"면서 "예컨대 퇴원을 시켜주면 술을 마시지 않고 잘하겠다는 환자의 말에 마음이 흔들려 아직 치료가 필요한 환자를 중도에 퇴원시키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고 말했다.

공동의존 증상도 치료 필요해

이처럼 알코올 의존증 환자 가정에서 흔하게 나타나는 '공동 의존' 증상 역시 치료가 필요하다는 조언이다.

알코올 환자가 일정 기간 금주와 폭주를 반복하면서 가족들을 괴롭히는 상황에 익숙해진 가족들은 이런 어려운 상황을 도피해야 한다는 감정과 동시에 가족으로서 환자를 돌봐야 한다는 양가감정을 갖게 된다. 전문가들은 이 과정에서 가족들은 올바른 판단이나 결정을 하지 못하게 되고 결과적으로는 환자의 음주 진행을 막지 못하게 된다고 말한다.

실제 이번 설문조사에서도 공동의존 증상을 나타낸 27명 중 21명이 실제 환자와 동거 중인 상태였다. 심지어 일부는 공동의존을 판단하는 점수(39점 이상이면 공동의존 상태로 판단)가 치료가 요구되는 수준인 60~80점 정도로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응답자 93.4%가 가족교육이 필요하다는 데 찬성해, 많은 가족들이 알코올 의존증 환자를 위한 교육 뿐 아니라 가족에 대한 교육과 치료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이 원장은 "가족의 행동이 환자의 음주 행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조장하거나 때로는 증상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모든 질병의 치료에서 가족의 역할이 중요하겠지만, 그중에서도 알코올 의존증 치료에 있어서 가족의 역할은 특히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