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기획 1]대표선수들의 영역 확장, 스타틴

 

 "대표선수들의 영역 확장, 항암치료 빗장도 열까?"
2013년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들의 사망원인 1위는 '암'이며, 사망자 10명 중 3명은 암때문에 사망했다. 암으로 인해 사망하는 환자가 늘면서 예방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다. 하지만 암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은 올바른 생활습관, 규칙적인 운동뿐. 게다가 암 예방을 목적으로 허가된 약물도 없다.

암사망자는 증가하는데 딱히 예방법이 없다 보니 전문가들의 관심은 기존 약들의 새로운 암예방 효과를 찾아내는 일에 초점이 맞춰졌다. 그렇게 찾아낸 약물이 바로 전 세계적으로 많이 처방되고 있는 아스피린, 스타틴, 메트포르민 등이다.

개발된 지 120년이나 된 아스피린이 대장암과 위암에 예방효과가 있다는 사실은 이미 오래전에 밝혀졌고 최근에는 자궁경부암을 예방효과도 거론이 됐다.

일부 암관련 학회에서는 암예방효과와 관련해 매년 업데이트된 내용을 발표할 정도.

당뇨병의 1차치료제인 메트포르민은 전립선암을 비롯해 예후가 좋지 않은 췌장암에서 효과를 입증했다. 국내 연구진도 몇 년 전 메트포르민의 위암예방효과를 발표하면서 주목을 끌었다.

심혈관질환 환자라면 많이들 복용하고 있는 스타틴 역시 다양한 고형암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장암, 전립선암, 유방암, 췌장암, 폐암, 갑상선암 등 암종도 다양하다.

이러한 연구를 근거로 많은 전문가는 적어도 세 가지 약제에 암예방효과가 있을 것으로 고려하고 있다.

다만 이러한 효과를 임상에 어떻게 적용하는 지가 문제다. 무작위대조연구(RCT)가 아닌 메타분석을 통한 발견한 것이라서 가능성 정도로만 봐야한다는 주장도 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최근 학문에서 메타분석의 유용성도 인정하고 있기 때문에 RCT가 아니기에 근거가 될 수 없다고 말하기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이번 특집호에서는 이러한 약물들이 가진 항암예방 효과를 자세히 살펴보고 임상적용의 문제를 전문가들의 입을 통해 들었다.

1. 스타틴편

2. 아스피린편

3. 메트포르민편

지질저하제의 대명사격인 스타틴이 암질환 분야에서도 활용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아직 일부 연구에선 엇갈린 결과가 보고되지만, 암환자의 전반적인 사망률을 낮춘다는 데 또 하나의 가능성을 제시한 것. 스타틴이 연구되는 암종만 해도 대장암, 유방암, 췌장암, 전립선암, 폐암, 갑상선암 등 다양하다.

물론 스타틴이 가진 부가적 혜택(pleiotropic effect)이 이전부터 논의되던 상황이라 이러한 결과들이 전혀 새롭지만은 않다. 암의 위험도에 영향을 주는 면역조절작용과 항염효과 등이 언급되며 스타틴이 암세포의 성장과 전이를 억제할 수 있을 것이란 가설들이 속속 제기됐기 때문.

현재까지 공개된 연구들은 비교적 근거수준이 낮은 체계적 문헌고찰(systematic review)이나 메타분석, 환자-대조군연구(case-control study)라는 데 분명 한계는 있다. 하지만 스타틴을 사용해야만 하는 암환자들에게 스타틴 처방에 혜택이 많다는 화두만큼은 확실하게 던졌다.

지금껏 암환자를 대상으로 스타틴의 효과를 조명한 흥미로운 연구들을 살펴봤다.

대장·전립선·유방암서 혜택 입증
암 진단 전·후 복용군서 사망 위험 감소

 

스타틴 복용군, 13개 암종서 암 관련 사망률 감소

스타틴이 전체 암환자에서 암 관련 사망률을 줄였다는 대표적인 연구가 있다. 덴마크 코펜하겐의대 임상생화학과 Sune F Nielsen 박사팀(헤를레브병원)이 주도한 이 연구는 NEJM 2012년 11월 8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되며 주목을 받았다(doi: 10.1056/NEJMoa1201735).

참여자의 규모도 컸다. 40세 이상 1만 8721명이 암진단을 받기 전부터 규칙적으로 스타틴을 복용한 환자들이었고, 27만 7204명은 스타틴 사용경험이 전무한 대조군이었다.

1995년부터 2007년 사이에 암진단을 받은 덴마크인들에서만 사망률을 평가했다는 데 지역적인 한계는 있지만 결과만큼은 확실했다. 스타틴을 복용한 환자군은 대조군에 비해 전체 사망률과 암이 원인이 된 사망 모두를 15%까지 감소시켰다(95% CI, 0.83 - 0.87). 특히 스타틴을 사용한 환자들에서는 13개 암종에서 암 사망률이 낮아졌다.

비록 암환자에서 스타틴의 유효성을 평가하는 임상시험이 추가적으로 요구된다는 단서가 붙었지만, 일단 스타틴이 암관련 사망률을 줄인다는 이슈만큼은 만들었다.

최근 연구서도 같은 결과, 용량 늘려 장기간 복용...효과 ↑

이와 관련 스타틴이 암환자들의 사망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을 실시한 연구결과가 최근 공개됐다.

중국 난징의대 Zhong S. 박사팀이 99만 649명의 환자가 등록된 39개 코호트 연구와 2개의 환자-대조군연구를 분석한 결과로, Cancer Treat Rev 2015년 6월호에 게재됐다.

결론은 같았다. 암진단 전과 후, 시기에 상관없이 스타틴을 사용한 환자들에서 전체 생존율이나 암 관련 생존율을 늘려 효과가 좋았다.

암을 진단받은 후 스타틴을 복용한 환자군은 모든 원인에 기인한 사망률 위험비가 대조군에 비해 19% 감소했다(95% CI: 0.72-0.91). 또 암과 관련된 사망률을 비교한 지표에선 스타틴 복용군이 대조군 대비 23%까지 위험도가 줄었다(95% CI: 0.66-0.88).

특히 암을 진단받기 전부터 스타틴을 사용한 환자에서는 이러한 혜택이 더 많았다. 이들에선 모든 원인에 기인한 사망률과 암 관련 사망률이 각각 21%(HR=0.79, 95% CI: 0.74-0.85), 31%(HR=0.69, 95% CI: 0.60-0.79)가 낮았다.

주목할 점은 스타틴 복용에 가장 큰 혜택이 따르는 암종이 대장암, 전립선암, 유방암 등 3종이었으며, 1년에 걸쳐 스타틴 1일 투여 용량을 늘린 환자에선 모든 원인에 기인한 사망률과 함께 암관련 사망률이 각각 20%(95% CI: 0.69-0.92), 23%(95% CI: 0.67-0.89)가 감소했다.

 

대장암 환자, 장기 복용시 생존율 높아져

스타틴 복용 혜택이 많은 암종으로 꼽힌 대장암에서 생존율을 평가한 연구가 있다.

영국 퀸스의대 C.cardwell 박사팀이 주도한 대규모 인구기반 코호트 연구는 작년 미국임상종양학회(ASCO)에서 한 차례 발표되며 J Clin Oncol 2014년 10월 1일자에도 게재됐다(doi:10.1200/JCO.2013.54.4569).

이번 코호트 연구는 대장암을 진단받은 환자에서 과연 스타틴을 사용하는 것이 암관련 사망률을 줄이는가에 초점이 맞춰졌다. 대장암 1~3기를 진단받은 7657명의 코호트는 1998년부터 2009년까지 영국 국립암데이터저장소(NCDR)의 자료가 이용됐으며, 영국 국립통계청(ONS)의 약물 처방기록과 함께 대장암으로 사망한 1647명의 데이터도 포함됐다.

결과는 극명했다. 대장암을 진단받고 스타틴을 함께 복용하던 환자에서 대장암에 기인한 사망률의 위험비가 29%까지 감소했던 것(95% CI, 0.61-0.84).

또 용량-반응 지표에선 이 같은 연관성이 더욱 뚜렷했다. 스타틴을 1년 이상 사용하던 대장암 환자는 사망률 위험이 36%까지 떨어졌다(95% CI, 0.53-0.79).

결국 대장암을 진단받은 후 스타틴을 사용한 환자군은 생존율이 증가하는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분석이다.

 

유방암, 투약시점 상관 없이 사망위험 절반으로

유방암 환자에서 스타틴의 혜택은 어떨까?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스타틴의 효과를 평가한 핀란드의 국가 코호트 연구에서 일부 답을 찾을 수 있다.

핀란드 탐페레병원 비뇨기과 Murtola TJ 박사팀이 진행한 연구는 PLoS One 2014년 10월 20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doi:10.1371/journal.pone.0110231).

스타틴은 이전에도 유방암의 재발을 지연시킨다거나 예방 효과가 있다는 속설이 종종 언급된 바 있다. 이번 코호트 연구는 스타틴 사용자에서 유방암의 위험비를 알아본 것으로, 암 관련 사망률이 미지수였던 상황이라 의미가 남다르다.

연구엔 핀란드암레지스트리(FCR)에 등록된 1995년부터 2003년까지 유방암을 새로 진단받은 3만 1236명의 환자 데이터가 이용됐으며, 의무기록을 통해 유방암 진단 전과 후 스타틴 사용 이력을 확인했다.

총 4151명이 스타틴 사용 경험이 있었고 유방암을 진단받은 후 추적관찰 기간(중앙값)은 3.25년이었으며 6011명이 사망했다. 이 가운데 3619명(60.2%)은 유방암이 직접적인 원인이었다.

결과에 따르면 유방암 진단 전과 후부터 스타틴을 사용한 환자 모두에선 유방암이 원인이 된 사망위험이 각각 54%, 46%까지 줄었다(진단 전 투약 HR 0.46, 95% CI 0.38-0.55, 진단 후 투약 HR 0.54, 95% CI 0.44-0.67).

연구팀은 "유방암 진단 전부터 스타틴을 사용하던 환자군에서는 용량과 시간에 비례해 혜택이 발견됐는데, 질병발생의 원인적 효과(causal effect)를 대변해준다"며 "향후 임상시험에서는 이를 반영해 스타틴이 유방암 환자의 생존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폐암 관찰연구서도 사망위험 감소 나타나
심바스타틴, 폐암 사망위험 줄여

앞서 대장암에서 스타틴의 혜택을 평가했던 영국 퀸스의대 Cardwell 박사팀은 타깃을 폐암 환자로 돌렸다.

Cancer Epidemiol Biomarkers Prev 2015년 5월호에 게재된 인구기반 코호트 연구결과, 스타틴 중에서도 심바스타틴의 효과가 새롭게 조명됐다(doi:10.1158/1055-9965).

동물모델을 이용한 비임상시험에서 스타틴이 폐암에 항암효과를 나타낸다는 근거들이 여럿 제시된 적은 있지만 폐암환자를 대상으로 사망위험을 평가한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결과를 살펴보면 대장암에서 확인된 효과까진 아니었지만 폐암 사망률을 낮춘다는 근거만큼은 확보했다. 폐암을 진단받은 후 스타틴을 사용한 3638명 환자에서 폐암 자체가 원인이 되는 사망률은 11%가 줄었던 것(95% CI, 0.78-1.02; P =0.09). 또 폐암을 진단받기 전부터 스타틴을 사용한 1만 1051명에서도 암이 원인이 되는 사망률이 11% 낮아져 동일한 효과가 확인됐다(95% CI, 0.83-0.93; P<0.001).

Cardwell 박사는 "스타틴 계열 약물 가운데 특히 심바스타틴이 암이 원인이 되는 사망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번 결과가 관찰연구로는 첫 사례지만, 향후 폐암 환자에서 항암요법의 보조제로 심바스타틴의 유효성을 평가하는 무작위대조연구(RCT)가 추가돼야 할 것"이라고 결론을 내렸다.

 

췌장암·갑상선암에선 성별마다 혜택 달라
췌장암은 남성에서…갑상선암은 여성에서 혜택

다양한 암종 가운데 췌장암은 역학연구 등이 공개됐지만 스타틴이 사망위험을 줄이느냐에 유독 논쟁이 따른다.
 
최근 발표된 UCSF(캘리포니아의대) Walker EJ 박사팀의 대규모 환자-대조군연구에서도 긍정적인 결과가 나왔지만 스타틴의 혜택은 성별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였다. 오직 남성에서만 췌장암의 사망위험이 유의하게 감소한 것.

Cancer 2015년 4월 15일자에 게재된 536명의 췌장암 환자와 869명의 대조군을 매칭 비교한 연구결과다(doi: 10.1002/cncr.29256). 스타틴 사용군에선 췌장암의 사망위험이 34% 감소했으며(OR, 0.66; 95% CI, 0.47-0.92), 스타틴의 사용기간이 길수록 췌장암의 사망위험이 낮아졌다.

10년 이상 투약한 경우 전반적인 사망 위험비가 대조군에 비해 49% 감소했던 것(10년 이상 투약: 전체 OR, 0.51; 남성 OR, 0.41; 95% CI, 0.21-0.80; P=0.006).

연구팀은 "스타틴 사용자에서 췌장암의 사망위험도 감소는 특정 성별에 국한돼 있었고, 장기간 사용자에 확실한 효과가 있었다"고 밝혔다. 단 향후 연구들은 췌장암 환자에서 스타틴의 생물학적인 작용기전을 밝혀내 사망위험과의 연관성을 파악하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부연했다.

한편 스타틴의 성별에 따른 혜택 차이는 갑상선암에서도 포착됐다. 대만 타이베이의대 이비인후과 Hung SH 박사팀이 주도한 인구기반 환자-대조군연구는 Clin Endocrinol 2015년 7월호에 게재됐다(doi: 10.1111/cen.12570). 

결과에 따르면 스타틴을 규칙적으로 복용했던 환자에서 유용성은 높았지만, 이러한 연관성도 여성 갑상선암 환자에서만 의미가 있었다는 지적이다(OR: 1.43; 95% CI: 1.07-1.90).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