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갑식 서울시병원회장 토로

▲ 김갑식 회장

"중소병원에 메르스환자가 발생했다고 하면 이것은 사실상 병원의 사형선고입니다."

김갑식 서울시병원회장은 1일 기자간담회를 열어 "중소병원은 신종감염병 환자를 격리 치료할 음압병실을 갖추지 못한 곳이 대부분"이라며, "이런 곳에 신종감염병 환자가 왔다고 가정하면 아마도 제2, 제3의 삼성서울병원이 되어 확산의 근원지가 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리고 메르스 치료 시설을 갖추지 못한 병원으로 좋은 병원이 아니라는 낙인속에 서서히 내리막 길을 걷다 소리도 없이 사라질 수 있다고 토로했다.

결국 중소병원에서는 의심환자가 있으면 가장 빠른 시간안에 보건소에 연락해 후속조치를 취하도록 하는 방안이 병원도 살고 환자도 사는 최선의 방법이다. 취재기간중 만난 여러 중소병원장들은 "메르스 환자가 오지 않길 매일 기도했다"고 푸념했다. 그러나 이러한 현실을 아는 이들은 많지 않다..

김 회장은 "메르스 초기에는 중소병원에 메르스 의심환자가 있으면 1인실에 격리·입원시킨뒤 확진이 되면 보건소로 알리도록 한 내용이 있었는데 보건소에서도 이처럼 위험천만한 일을 아무렇지도 않게 이야기 하더라"며, "일반 질환자에 대한 보호를 박원순 서울시장에게 요청한 이후 의심환자를 곧 조치하는 것으로 바뀌었다"고 말했다.

이를 통해 메르스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곳과 일반 질환자를 돌볼 수 있는 곳으로 의료기관 역할을 분담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문제는 또 있다. 의심환자들이 치료를 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고 경유한 의료기관들을 이야기 하지 않거나 거짓말 하는 경우다.

실제 이같은 사례가 대학병원에서 발생해 방역체계에 구멍이 뜷렸다는 지적을 받기도 했다. 이것이 중소병원에서 발생했다면 상황은 어떻게 확산될 지 모를 일이다.

김갑식 회장은 메르스 종식을 이야기 하기엔 이르지만 지금부터는 후속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했다. 여기엔 경영난이 근저에 자리잡고 있다.

메르스 환자가 발생했거나 경유한 곳외에도 모든 의료기관에서 외래·입원환자가 줄었다. 월급줄 돈도 없다는 곳이 허다하다. 6월은 그럭저럭 넘겼지만 청구액이 크게 줄어든 다음달부터가 더 큰 문제다. 지원이 없으면 문을 닫아야 한다.

김 회장은 "건강보험 요양급여비용 선지급이나 피해보상은 발등의 불을 끄는데 도움은 되지만 장기적 비전을 갖는데는 한계가 많다"며, "현실적으로는 지방세·갑근세를 유예하고 메디칼론의 한도를 높여주는 것이 효과적이다"고 강조했다.

특히 메디칼론은 2~3개월 건보진료비를 채권압류한후 가지급해주는 형태인데 이것을 6개월까지 확대해 달라는 요구다.

김 회장은 "대부분 병원들은 인건비 등 고정비가 지출구조의 40∼50%를 차지하고 있다"며, "일반은행 대출 확대, 기존 타 대출액의 원금상환기간 연장 및 이자율 인하 지원도 필요하다"고 건의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