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유산 환자가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직장을 다니거나 40대의 고령 산모가 많아진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2009년~2013년까지 자연유산(O03)에 대한 건강보험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진료인원이 2009년 1만4740명에서 2013년 1만7151명으로 연평균 3.9%씩 증가했다.

이에 따라 분만 진료인원 중 자연유산이 차지하는 비율은 2009년 3.6%에서 2013년 4.3%로 올랐다.

자연유산으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비는 2009년 18억6507만원(급여비 13억854만원)에서 2013년 18억1196만원(급여비 12억4551만원)으로 소폭 감소했다.

임신연령을 고려해 25~44세의 자연유산 진료인원을 연령별로 분석한 결과, 분만에서 자연유산이 차지하는 비율은 40~44세가 12.1%로 가장 높았고, 30~34세가 3.5%로 가장 낮았다.

자연유산을 직장 가입자와 비(非)직장 가입자로 구분하여 분석해 본 결과, 분만에서 자연유산이 차지하는 비율은 모든 연령에서 직장 가입자가 비(非)직장 가입자보다 높았다.

그 차이는 전체 평균 1.2%p로 나타났고, 40-44세에서 3.9%p, 25-29세에서 2.8%p 비교적 많은 편이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산부인과 이산희 교수는 "직장 가입자의 자연유산 비율이 높은 이유에 대해 이 문제에 대해 '절박유산'과 관련이 있다"며 "절박유산이란 임신 20주 이내에 질출혈을 동반해 실제 유산으로 진행 될 수 있는 경우를 말하며, 이때에는 절대 안정 및 관찰이 필요한 시기지만 직장생활을 하는 산모는 비교적 안정을 취하기 힘들어 자연유산으로 진행될 확률이 높아진 것"이라고 말했다.

또 "40세 이상에서 자연유산 비율이 높은 이유는 확률적으로 40세 이상의 고령임신에서 다운증후군, 에드워드 증후군 등의 염색체 이상이 많이 발생하므로 이로 인해 자연유산 가능성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 증가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