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체약제 자이복스 대비 53.55% 수준 우려

▲ 동아ST 시벡스트로

동아ST가 개발한 수퍼항생제 시벡스트로(테디졸리드)의 약가 산정이 논란의 중심에 섰다. 하반기 약가 등재를 앞둔 시벡스트로의 약가가 저평가 될 것이라는 우려 때문.

시벡스트로는 FDA에서 먼저 허가를 받고 지난 4월 정제와 주사제가 나란히 국내 품목허가를 획득한 국산 신약이다. 지난 3월말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약가를 신청한 시벡스트로는 오는 7월이나 8월 약제급여평가위원회에 상정될 것으로 관측된다.

문제는 대체약제에 따른 약가등재 시기다. 유일한 대체약제로 알려진 화이자의 자이복스(리네졸리드)는 지난해 7월 특허만료와 제네릭 발매로 원 가격의 70%로 약가가 인하됐고, 1년이 지난 올해 7월 이후에는 약가가 53.55% 수준으로 떨어진다.

이에 시벡스트로의 약가 또한 대체약제를 기준으로 정해지는 산정기준에 의해 7월에 상정되면 70% 수준으로, 8월에 상정되면 53.55%의 약가를 받을 것으로 예측되는 것.

따라서 동아ST 측은 최대한 7월 상정을 희망하고 있지만, 업계에는 약가인하에 따른 건강보험 재정 안정 등을 이유로 8월에 상정될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정부가 가로막는 글로벌 제약강국?

그러나 이 같은 상황에 대해 제약업계 내부에서 불만의 목소리가 터져나오고 있다.

많은 시간과 돈을 투자한 국산 신약의 국내에서 저평가도 문제지만, 수출시 약가를 국내 기준으로 책정하는 경우가 많아 향후 해외 수출까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보령제약의 신약 카나브와 일양약품 놀텍 등도 일괄 약가인하와 사용량 약가연동제 등 정부의 약가인하 정책으로 낮은 약가가 책정돼 해외 진출에 적잖은 타격을 입은 것으로 알려졌다.

한 업계 관계자는 "신약 개발을 독려하면서 정작 힘들게 개발하면 이에 대한 가치를 제대로 인정해주지 않고 있다"면서 "글로벌 제약강국을 만들자는 정부가 나서서 신약 가치를 깎아내리고 있는 셈"이라고 털어놨다.

또 "과거 신약 약가도 저평가 논란이 불거졌던 것을 보면 이번 시벡스트로에 대한 우려는 동아ST를 옹호하겠다는 것이 아니라, 정부가 전체적인 신약 연구개발 의지를 꺾는 것에 대한 지적에 가깝다"고 강조했다.

3조 5000억원 시장 도전, 정부 뒷받침 아쉬워

특히 시벡스트로는 애초에 글로벌 시장을 겨냥하고 만든 제품으로, 내수시장에서 수익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시벡스트로의 약가인하가 건보재정에 기여하는 바는 적을 것으로 보인다.

동아ST 측도 국내시장은 약 80억원 수준에 그쳐 국내시장 자체로는 크게 의미가 없다고 언급한 바 있다.

반면 시장조사기관 GlobalData에 따르면 2011년 전 세계 MRSA(메타실린내성 황생포도상구균) 시장은 약 2조 7000억원에 달하며 2019년에는 약 3조 5000억원으로 성장이 점쳐지고 있다.

이처럼 거대한 해외시장을 목표로 신약개발에 투자해 제품화에 성공한 단계에서, 국내 약가를 기준으로 해외 약가가 책정되는 상황에 대한 정부의 관심과 배려를 제약업계가 촉구하고 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